미국에서 뜬다는 ‘제5의 맛’
2019-11-25 09:03:08
우리 음식을 비롯한 ‘에스닉 푸드’(이국적인 느낌의 제3세계 전통음식) 열풍으로 미국에서 ‘감칠맛(우마미)’이 뜨고 있다. 미국 식품매체 푸드다이브에 따르면 ‘동양의 맛’의 대명사인 감칠맛이 미국에서 ‘제5의 맛’으로 자리잡고 있다. 감칠맛은 북미나 유럽 지역에선 우마미로 불린다. 1908년 일본 화학자에 의해 ‘우마미’라고 이름이 지어진 후, 전세계 료리업계에서 독특한 풍미와 맛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식품이 아니라 과학…이게 바로 미래 식품들
2019-11-25 09:01:48
지난 몇년 사이 현재의 식량 생산방식을 바꾸는 ‘푸드테크’는 미국 실리콘밸리를 중심으로 급속도로 성장했다. 기후변화와 환경오염, 식량부족으로 인한 전세계의 위기의식은 기존의 식품 소비를 뒤바꾸는 기술을 개발하는 스타트업의 성장동력이 됐다. 축산업과 락농업을 통해 생산된 동물성 식품을 대체할 수 있는 식물 기반의 식품들을 개발하는 것은 지금 이 순간도 전세계 식품 스타트업의 핵심과제로 자리잡고 있다.
비린내 잡고 염분 줄인 어간장
2019-11-25 09:04:28
생선이 풍부한 해안지역에서는 콩이 아닌 멸치나 까나리 등을 넣어 발효시킨 액젓(어간장)을 주로 담근다. 어간장은 콩으로 만든 간장과 달리 생선 특징이 더해져 음식에 깊은 맛을 내게 한다. 김장할 때 필요한 재료이기도 하다. 어간장은 멸치 등에 보통 20% 이상 소금을 혼합해 2년 정도 발효기간을 거친다. 소금을 20% 이하로 줄이면 썩는 문제가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진다. 발효과정에서 특유의 비린내가 발생하고 과도한 나트륨 섭취는 단점으로 지적된다. 소금의 주성분인 나트륨은 삼투압을 결정해 혈액량을 조절하는데 과잉 섭취할 경우 혈압상승 및 고혈압 발생을 유발할 수 있다.
떠오르는 먹거리 새싹보리
2019-11-18 09:20:33
새싹보리는 보리를 싹을 틔운 뒤 10~20센치메터가량 자라난 어린 보리싹을 의미한다. 보리새싹이 싹을 틀 때 식물은 에너지를 내게 되고 새싹보리에는 일반보리보다 100배에 달하는 45종의 생리활성물질을 함유되게 된다. 또한 보리새싹에 풍부한 비타민, 미네랄, 아미노산, 식이섬유와 같은 생리활성물질이 성인병 예방이나 다이어트에 효과가 있다.
올리브유 VS 아보카도유, 뭐가 좋을가?
2019-11-18 09:22:14
트랜스지방이나 포화지방과 달리 ‘착한 기름’으로 불리는 기름이 있다. 바로 올리브유과 아보카도유이다. 지중해 식단의 건강성이 립증되면서 올리브유는 이미 전통강자의 자리를 차지했다. 아보카도유 또한 아보카도가 슈퍼푸드로 인정받으며 최근 소비자의 주목을 받고 있는 기름이다.
이런 음식이 신장에 좋다
2019-11-18 09:21:34
신장은 체내 신진대사 결과에서 생성되는 분해산물이나 유해물질 등을 땀과 대소변의 형태로 배설시키는 역할을 하는 장기이다. 인체의 전반적인 부분에 관여하는 신장은 체내 중요 장기로 여겨지며 기능이 심각하게 저하되면 사망에 이르기도 한다고 알려져있다.
겨울철 우리의 대표 간식, 고구마
2019-11-18 09:19:32
우주시대의 식량, 고구마는 과거 식량이 넉넉지 못했을 때 쌀 대체 식품으로 여겨지기도 했지만 우주를 자유로이 오가는 21세기에는 이야기가 좀 다르다. 미국 항공우주국 나사는 고구마를 우주시대 식량자원으로 인정했다. 뿐만 아니라 세계보건기구인 WHO에서 지정한 면역력 강화 식품으로도 꼽혀 건강식품으로서의 그 위상이 더욱 견고해졌다.
쵸콜레트는 과연 건강한 식품일가?
2019-11-11 09:00:51
일반적으로 화이트 쵸콜레트와 밀크 쵸콜레트보다 다크 쵸콜레트가 건강을 위해 더 나은 선택이라고 여긴다. 하지만 실상 다크 쵸콜레트도 건강한 쵸콜레트는 아니다. 미국 일간 워싱턴포스트는 쵸콜레트가 항산화 등 건강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결과가 많지만 그와 같은 효능을 얻기 위해서는 매일 엄청난 량의 쵸콜레트를 먹어야 한다고 최근 보도했다. 쵸콜레트에는 특히 설탕과 지방이 많이 함유돼있어 섭취량이 늘어날수록 우리 몸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노란자위 두개 쌍란, 건강엔 어떨가?
2019-11-11 09:00:25
마트에서 구매한 닭알을 깨뜨렸을 때 노란자위 두개인 쌍란이 나오는 경우가 종종 있다. 쌍란은 왜 생기는 걸가. 한개의 닭알 안에 노란자위 두개는 닭 산란 초기의 배란 문제에서 비롯된다. 산란계(닭알 생산을 목적으로 사육되는 닭)는 태여난 지 보통 20주께부터 알을 낳기 시작하는데 20주령부터 24주령 미만 사이의 초산 기간에는 배란이 불규칙한 경우에 쌍란이 종종 발생한다.
제철 맞은 감귤, 알고 먹으면 더 맛있다
2019-11-11 09:00:01
감귤은 새콤달콤하고 아삭거리는 식감을 앞세워 오래동안 우리의 입맛을 사로잡고 있는 과일이다. 감귤은 지금이 본격적인 시즌이다. 제철에 먹는 감귤은 맛도 좋지만 이 시기에 발생할 수 있는 감기나 면역력 저하를 막는 과일이기도 하다. 껍질부터 알맹이까지 몸에 리로운 기능성 성분이 가득 들어있기 때문이다. 비타민C는 물론 베타카로틴이나 플라보노이드 등의 각종 항산화 물질이 함유된 것으로 보고돼있다.
록차도 타이밍이 중요하다
2019-11-11 08:59:08
타이밍은 사랑에만 중요한 것이 아니다. 음식을 먹을 때도 더 완벽한 타이밍이 존재한다. 커피 다음으로 많은 이들에게 사랑받는 록차 역시 마시는 시간에 따라 우리 몸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진다. 건강 또는 다이어트를 위해 록차를 마신다면 최대한의 리점을 누릴 수 있는 시간 조절도 필요하다.
취향 존중의 시대, 더 강력해질 음식 트렌드
2019-11-04 09:14:11
세대와 성별을 초월한 ‘취향’이 식품업계를 관통하는 가장 강력한 키워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소비자들의 취향은 해를 거듭할 수록 진화하고 있다. 오랜 시간 이어온 ‘건강한 식품’에 대한 트렌드는 기본이며 동시에 이야기와 혁신, 륜리와 가치를 갖춘 제품으로 달라진 소비 수요를 만족시키는 것이 중요해졌다.
트랜스지방이 숨어있는 음식들
2019-11-04 09:13:36
최근 전세계에선 다시한번 ‘트랜스지방과의 전쟁’이 시작됐다. 지난 4월 유럽위원회는 심장질환을 줄이기 위한 일환으로 가공식품의 트랜스지방 함량을 2%로 제한하는 규정을 채택했다. 규정에 따르면 2021년 4월 1일부터 가공식품의 트랜스지방 함유량은 지방 100그람당 2그람을 초과할 수 없다. 또한 상품 라벨에 ‘트랜스지방 무첨가’가 표기된 식용유는 지방 100그람당 트랜스지방 함유량이 최대 1그람을 초과할 수 없다. 트랜스지방은 액체 상태인 식물성 기름의 불포화 지방을 고체 상태로 가공하기 위해 수소를 첨가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지방이다. 가공식품의 식감을 좋게 할 뿐만 아니라 값이 싸고 류통기간이 길어 식품업계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건강에 미치는 악영향이 크다.
올해 주목받은 영양소는?
2019-11-04 09:13:03
고령화 사회에 접어들며 치매 인구도 급증하고 있다. 2019년엔 뇌 건강을 강조한 영양소가 부각될 것으로 보인다. 뇌 건강과 관련한 식품 령역은 향후 3년내에 10억딸라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 분야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영양성분은 세가지이다. 특히 경도인지장애와 알츠하이머 환자는 정상적인 로화 과정에 있는 사람보다 더 많은 신경 세포 손실이 발생한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중성지방 줄이는 식습관은?
2019-10-28 09:24:31
우리 몸은 일정량의 지방을 필요로 한다. ‘복부비만’과 ‘만성질환’의 주범으로 꼽히는 중성지방 역시 신체활동을 하는 데 있어 중요한 에너지로 쓰인다. 하지만 중성지방이 많아질 때 우리 몸은 ‘위험 신호’를 보낸다. 체내에 쌓인 중성지방은 각종 질환의 원인이다. 중성지방 수치가 높아지면 동맥경화, 뇌졸중, 심장병과 같은 혈관 질환으로 사망할 위험도 높아진다. 정상인은 공복시 혈청 중성지방 농도는 40~150밀리그람/데시리터으로, 150~199밀리그람/데시리터인 경우 경계치로 본다. 중성지방의 위험에서 벗어나기 위해선 식습관 관리가 중요하다.
주소:중국 길림성 연길시 신화가 2호 (中国 吉林省 延吉市 新华街 2号)
신고 및 련락 전화번호: 0433-2513100 | Email: webmaster@iybrb.com
互联网新闻信息服务许可证编号:22120180019
吉ICP备09000490-2号 | Copyright © 2007-
吉公网安备 22240102000014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