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들이 좋아하는 축구경기에서는 가끔 패널티킥으로 승부를 가르는 경우도 발생한다. 패널티킥에서 키퍼는 단 11메터를 사이에 두고 공을 차는 선수와 마주하는데 공이 어느 방향으로 튈지 모르기에 아주 짧은 순간에 판단을 내려야 한다. 실점을 막는 키퍼는 다른 위치에서 활약하는 선수들과는 조금 다른 방식으로 축구경기에 기여한다.
꼴문의 파수군 역할을 하는 키퍼가 감각정보를 처리하는 방식은 경기장을 뛰여다니는 다른 위치의 선수들과 다르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아일랜드 더블린시티대학교 다이비드 교수 연구팀은 키퍼들은 세상을 인지하고 감각정보를 처리하는 방식이 다른 선수들과 근본적으로 다르다는 연구결과를 10일 국제학술지에 발표했다.
연구론문의 제1저자이며 전 아일랜드 국가대표 선수인 마이클 퀸은 “꼴키퍼는 다른 선수들과는 달리 제한적이거나 불완전한 감각 정보를 바탕으로 수천가지의 결정을 빠르게 내려야 한다.”면서 “키퍼가 다양한 감각정보를 결합할 수 있다는 가설을 연구를 통해 립증했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일반 선수와 키퍼의 감각정보를 처리하는 능력 차이를 과학적으로 립증한 첫 연구라고 소개했다.
사람은 이미지와 소리에 로출되면서 시각과 청각 자극의 통합을 경험하게 된다. 일반적인 사람은 한장의 이미지를 2회의 부저음과 함께 로출했을 때 두장의 이미지를 본 것으로 착각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착각은 통상 시각자극과 청각자극이 발생하는 시간 간격이 길어질수록 줄어들게 된다. 만약 자극을 주는 시간 간격을 줄였을 때 착각이 발생하는 차수가 줄어든다면 이는 복수의 감각을 짧은 시간에 처리하는 능력이 뛰여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실험 결과 키퍼인 실험참가자들은 다른 참가자 그룹과 비교했을 때 자극과 자극이 가해진 시간의 간격이 짧았음에도 착각을 일으키는 차수가 적었다. 키퍼만이 가진 독특한 정보처리 특성도 발견됐다. 키퍼는 시각정보와 청각정보를 통합하지 않고 분리하는 경향이 다른 참가자들에 비해 뚜렷하게 나타났다. 연구팀은 “꼴키퍼는 종종 부분적이거나 불완전한 감각 정보에 의존해 신속한 결정을 내려야 하기 때문에 이러한 특성이 생긴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례를 들어 키퍼들은 공중에서 공이 어떻게 움직이는지 지켜보는 동시에 공이 걷어차이는 소리를 접하게 된다. 하지만 이 두가지 시각과 청각 정보는 슛을 날리는 선수가 경기장 어디에 위치하느냐에 따라 다르게 결합될 수 있다. 경기중 다양한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선 시각정보와 청각정보를 분리해서 처리하는 것이 유리하다는 것을 경험을 통해 체득했다는 설명이다.
연구팀은 후속 연구를 통해 키퍼들의 감각정보를 처리하는 방식이 선천적인지 아니면 후천적으로 형성됐는지 확인할 계획이다.
중국과학기술넷
- 많이 본 기사
- 종합
- 스포츠
- 경제
-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