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아프리카 정부 밝혀
[요하네스버그 8월 4일발 신화통신 기자 백가] 4일, 남아프리카공화국 무역 및 외교 부서가 공동으로 매체 브리핑을 가지고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수출품에 대한 미국의 30% 되는 높은 관세 징수 정책이 남아프리카공화국 경제에 심각한 충격을 줄 것이며 약 3만개의 일자리 류실을 초래할 수 있다고 표했다.
남아프리카공화국 무역, 산업 및 경쟁부 총국장 심피비 해밀턴은 “미국은 유럽련맹과 중국 버금으로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세번째로 큰 무역 파트너로서 높은 관세는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자동차 제조, 농산물 가공 등 업종을 심각하게 충격하여 약 3만개의 일자리를 위협할 것”이라고 밝혔다. 남아프리카공화국 통계국의 수치에 따르면 2025년 1.4분기 전국 실업률은 32.9%에 달했으며 그중 15~34세 사이의 청년층 실업률은 46.1%에 달했다.
남아프리카공화국 국제관계및협력 장관 로날드 라모라는 “30% 관세정책이 실시될 경우 남아프리카공화국 경제 성장은 0.2%포인트 내려갈 것으로 예상된다.”고 지적했다. 그는 “남아프리카공화국은 현재 무역협정과 관련해 미국과 계속 협상중에 있다.”면서 식민지시기의 략탈적인 무역관계의 전철을 밟지 말고 산업 부가가치와 산업화 발전을 촉진하는 무역협정을 체결할 수 있기를 바랐다.
미국의 관세 도전에 대응하기 위해 남아프리카공화국 대통령 라마포사는 당일 주간 공개 서한에서 “남아프리카공화국은 ‘수출 기업 지원 플랫폼’을 설립하여 충격을 받은 기업들이 시장을 개척하고 수출 구조를 조정할 수 있도록 중점적으로 지원할 것”이라고 선포했으며 “동시에 수출 시장의 다원화 전략을 가속화하고 아프리카대륙 자유무역지대와 아시아, 중동 등의 시장을 적극적으로 개척하여 단일 시장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고 경제 회복력을 높일 것”라고 밝혔다.
7월 31일, 미국 대통령 트럼프는 행정명령에 서명하여 남아프리카공화국을 포함한 69개 무역 파트너 국가의 대 미국 수출 상품에 적용되는 관세률을 발표했다. 이 조치는 미국 국내와 국제상에서 반대와 질의을 불러일으켰다. 미국측이 발표한 새로운 관세률은 행정명령이 반포된 7일 후부터 실시된다.
- 많이 본 기사
- 종합
- 스포츠
- 경제
-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