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건강한 생활방식과 행동
(25) 체중은 여러가지 질병과 관련되여있으므로 균형 잡힌 음식을 섭취하고 건강한 체중을 유지하며 과체중과 비만을 피해야 한다.
(26) 식사는 곡류 위주로 하고 야채, 과일, 고구마류를 많이 먹어야 하며 고기와 야채를 골고루 먹고 편식하지 말아야 한다.
(27) 식사는 담백하게 하고 소금, 기름, 설탕을 줄이며 요드소금을 섭취해야 한다.
(28) 우유류와 콩류 및 그 제품을 매일 섭취하고 견과류를 적당히 섭취해야 한다.
(29) 생음식과 익힌 음식은 따로 보관하고 가공해야 하며 생으로 먹는 야채나 과일은 깨끗이 씻어야 하고 변질하거나 류통기한이 지난 음식은 먹지 말아야 한다.
(30) 음식을 아끼고 랑비하지 말아야 하며 음식을 나눌 때 공용수저를 사용해야 한다.
(31) 식용수 위생에 주의하고 매일 충분한 량의 물을 마시며 설탕이 함유된 음료는 마시지 않거나 적게 마셔야 한다.
(32) 과학적인 신체단련은 견지하는 것이 중요한다. 건강한 성인은 매주 150~300분 중강도 또는 75~150분 고강도 유산소 운동을 해야 하며 매주 반드시 2~3차 항저항훈련을 해야 한다.
(33) 흡연(전자담배 포함)을 하지 말아야 한다. 흡연과 간접흡연은 여러가지 질병을 유발할 수 있다. 전자담배는 여러가지 유해물질을 함유하고 있어 건강에 해를 끼친다.
(34) 담배 의존은 만성 중독성 질환이다. 때문에 담배는 빨리 끊을수록 좋다. 모든 년령의 금연은 모두 유익한 것으로 금연시 전문적인 금연서비스를 찾을 수 있다.
(35) 술을 적게 마시거나 술을 마시지 않는다.
(36) 심리건강을 중시하고 유지하며 심리적 문제가 생겼을 때 적극적으로 도움을 요청해야 한다.
(37) 누구나 불안과 우울증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불안과 우울증을 정확히 인식한다.
(38) 부모와 아이의 교류와 놀이를 통해 유아의 조기 발달을 촉진한다. 심리적 행동 발달 문제를 발견하면 즉시 진료를 받아야 한다.
(39) 일과 휴식을 합리적으로 결부해야 하고 제때에 취침하고 기상하며 충분한 수면을 취해야 한다.
(40) 개인위생을 중시하고 좋은 위생습관을 기르며 소독제품을 과학적으로 사용하고 전염병을 적극적으로 예방해야 한다.
(41) 구강건강을 보호하고 아침저녁으로 양치질을 하며 식후에 양치질을 한다.
(42) 과학적으로 진료를 받고 즉시 진료를 받으며 의사의 지시에 따라 치료하고 진료 결과를 리성적으로 대한다.
(43) 합리적으로 약을 사용해야 한다. 약으로 치료할 수 있으면 근육주사를 맞지 않고 근육주사를 맞을 수 있으면 링겔을 맞지 않으며 의사의 지시에 따라 항미생물 약물을 사용해야 한다.
(44) 의사의 지시에 따라 마약과 정신 의약품 등 중독성 약물을 사용하여 약물 의존을 예방한다.
(45) 마약을 멀리한다.
(46) 농촌에서는 위생조건을 갖춘 화장실을 사용하고 가축 분뇨를 잘 관리한다.
(47) 헬멧을 착용하고 안전벨트를 착용한다. 과속을 하지 않고 음주운전을 하지 않으며 운전시 집중하고 피로운전을 하지 않는다. 어린이는 카시트를 사용하여 도로 교통 상해를 줄인다.
(48) 간호와 교양을 강화하여 어린이 익사를 예방하고 익사자를 과학적으로 구조한다.
(49) 겨울철 난방은 환기에 주의하고 일산화탄소 중독을 조심해야 한다.
(50) 자각적으로 혼전과 임신 전 건강관리를 받고 적령기에 출산을 하며 임신중 의사의 지시에 따라 산전 검사와 임신 위험 선별 평가를 받아야 하고 입원 분만을 해야 한다.
(51) 아기가 태여나면 빨리 모유수유를 시작해야 하고 6개월이 되면 이유식을 합리적으로 첨가해야 한다.
(52) 청소년은 건강한 행위, 생활습관을 길러야 하고 매일 2시간 이상 야외운동을 꾸준히 해야 하며 한가지 이상의 운동기술을 잘 습득하고 근시, 과체중, 비만을 예방하며 인터넷 중독과 조기 성행위를 피해야 한다.
(다음기 계속)
- 많이 본 기사
- 종합
- 스포츠
- 경제
-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