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른둥이로 태여날 경우 30, 40대까지 조기 사망 위험이 지속된다는 새로운 연구결과가 나왔다.
이른둥이는 임신 37주 전에 태여난 조산아 또는 미숙아를 말한다. 전세계 아기의 10%가 이른둥이로 태여난다. 조산은 영아 사망의 제1원인이며 5세 미만 아동 사망의 두번째 원인으로 꼽힌다.
론문의 주저자인 미국 웨이크포레스트대 의대의 아스마 아메드 교수(역학 및 예방의학)는 대부분의 이른둥이는 성인이 될 때까지 생존하지만 조기 사망 위험은 30년 넘게 지속된다는 증거가 점점 더 많아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아메드 교수와 동료들은 1983년-1996년 카나다에서 태여난 약 500만명의 출생 데이터를 분석했다. 그중 6.9%가 이른둥이였다.
연구진은 이들 이른둥이를 2019년까지 추적했다. 추적기간은 23~36년에 이르렀다. 연구진은 조산과 36세까지의 모든 년령대에서 사망 위험 증가간의 련관성을 살펴봤다. 사망 위험은 출생부터 유아기, 0-11개월, 1-5세 등 아동기에 가장 컸다.
아메드 교수는 “우리는 출생시 재태년령(출생 전까지 자궁에 있는 기간)이 짧을수록 조기 사망 위험이 더 높으며 28주 이전에 태여난 이른둥이의 조기 사망 위험이 가장 높다는 것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이는 호흡기, 순환기, 소화기 장애, 신경계 및 내분비계 질환, 감염, 암, 선천적 결함 등 여러가지 원인에 기인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조산을 사망률의 중요한 위험 요인으로 인식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아메드 교수는 지적했다. 그는 “그 위험이 인생의 30대와 40대까지 이어진다.”며 신생아기의 림상 치료가 중요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위험을 줄이기 위해서는 장기적인 치료와 지속적 관찰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특히 조산률이 높은 저소득 및 중간 소득 국가에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그는 강조했다.
외신
- 많이 본 기사
- 종합
- 스포츠
- 경제
-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