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교원들이 ‘몬스터 페어런츠(怪兽家长)’라 불리우는 악성학부모 민원으로 고통받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일명 ‘몬스터 페어런츠’(괴물학부모)라 불리우는 이들은 벗꽃이 입학식 날자에 맞춰 피지 않거나 급식 메뉴가 마음에 들지 않는다는 터무니없는 리유로 항의를 이어가고 있다. 시간과 수단을 가리지 않고 민원이 오는 탓에 교원들의 스트레스 역시 커지고 있다.
16일(현지시간), 남화조보는 ‘몬스터 페어런츠’로 인해 일본 교원들의 절망감이 점점 커지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 문제는 도꾜 관련 당국이 ‘폭언이나 폭행 때 경찰출동 요청을 할 수 있는 정책’을 만들 정도로 규모가 커졌다.
일본 학부모들의 악성민원은 지난 2007년 교육자 무코야마 요이치가 처음으로 악성학부모들을 ‘몬스터 페어런츠’로 표현하며 사회문제로 급부상했다. 그는 해당 학부모들을 “밤낮으로 교원을 몰아세우며 리해할 수 없는 무리한 요구를 퍼붓는 부모”라고 설명했다.
매체에 따르면 오늘날 일본 교원들은 “부모가 과거보다 공격적이고 권리를 주장하는 것도 심해졌고 그로 인해 교원의 정신적 소진이 심각한 수준”이라고 호소했다.
학부모들의 비상식적인 항의내용은 다양하다. “입학식 때 벗꽃이 피지 않았다.”거나 “학교 급식이 맛이 없다.”, “아이가 벌레에 물렸으니 책임지라.”는 식이다. 이런 악성민원은 렬악한 교원 로동실태로 이어졌다.
일본 문부과학성 공립학교 교직원의 인사·근무 환경보고서에 따르면 2021년 정신질환으로 휴직한 교직원은 5897명으로 전년도(5203명)보다 694명 증가해 력대 최다 인원을 기록했다.
이즈미 쓰지 도꾜 주오대학 문화사회학 교수는 이러한 현상을 인구 통계학적, 사회적 변화와 련결해 설명한다. 그는 “오늘날 일본에서 태여나는 아이가 줄어들며 부모들이 모든 관심을 자식의 건강과 학업적 성공에 쏟고 있다.”며 이 문제로 “교원들에게 가해지는 압박이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여러 가구가 함께 살던 전통적 가족단위와 지역사회의 련대가 붕괴하면서 부모들이 조언을 구하거나 의지할 수 있는 대체 지원 구조가 부족해지고 대신 학교에 불만을 표출하게 됐다.”고 말했다.
종합
- 많이 본 기사
- 종합
- 스포츠
- 경제
- 사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