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에 마시는 커피가 심혈관질환으로 인한 사망위험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툴레인대학 공중보건·열대의학·력학과 루 치 교수 연구팀은 아침에 마시는 커피는 다른 시간대에 마시는 커피와 달리 사망위험 감소와 관련성을 보인다는 연구결과를 일전 국제학술지 《유럽심장잡지》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커피가 우리 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성인 4만725명의 건강데이터가 담긴 1999년-2018년 미국 국민건강영양조사를 분석했다. 데이터에는 커피 섭취 여부, 섭취량, 섭취 시간 등에 대한 정보가 담겨있었다. 1463명의 하위 집단을 대상으로 일주일 동안 먹은 음식과 음료 일기를 작성하도록 한 데이터도 포함되였다.
연구팀은 이 정보들을 사망 관련 기록과 련결 지어 분석했는데 분석 결과 연구대상자중 36%는 정오 전에 마시는 모닝커피를 즐겼고 16%는 오전, 오후, 저녁 등 종일 커피를 마시는 경향을 보였으며 48%는 커피를 마시지 않았다.
모닝커피를 마시는 사람들은 커피를 마시지 않은 사람들보다 전체적인 사망 확률이 16% 낮았고 심혈관질환으로 인한 사망 확률은 31% 낮았다. 반면 종일 커피를 마시는 사람들은 커피를 마시지 않는 사람들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모닝커피를 마시는 사람들은 2~3잔 적정 섭취량을 마시든 3잔 이상 마시든 사망률이 줄어드는 결과를 보였다. 1잔 이하의 가벼운 섭취는 건강상 리점이 줄어들었지만 커피를 마시지 않는 사람들보다는 여전히 사망률이 낮았다.
연구팀은 “커피 섭취 여부 및 섭취량 뿐만 아니라 커피를 마시는 시간도 건강의 관점에서 중요하다.”며 “건강식단 지침에 커피 섭취 시간에 대한 조언은 제공되지 않는 경향이 있는데 이를 포함시켜야 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모닝커피 섭취와 사망위험 감소 사이의 인과관계를 명확히 밝힌 연구는 아니며 연구결과를 검증하기 위한 추가연구가 필요하다. 연구팀은 “오후나 저녁에 커피를 마시면 24시간 신체리듬과 멜라토닌(褪黑素) 등 호르몬수치의 정상 작동이 방해받아 사망 위험률이 높아지는 것으로 보인다.”며 연구결과가 도출된 리유를 류추했다.
외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