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생 침판지들이 술과 비슷한 발효 과일을 나눠 먹는 모습이 포착되였다. 이를 근거로 야생 침판지들이 인간들처럼 알콜을 섭취하며 뉴대감을 형성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21일(현지시각) 영국 가디언에 따르면 영국 엑서터대학 연구팀은 아프리카 기니비사우의 칸타네즈 국립공원에서 야생 침판지들이 발효되여 알콜성분이 함유된 빵나무 열매를 나눠 먹는 장면을 목격했다.
연구진은 모션 인식 카메라를 사용해 침판지들이 섬유질이 많은 발효 과일을 나눠 먹는 모습을 10회에 걸쳐 촬영했다. 침판지가 먹은 과일의 가장 높은 알콜 도수는 0.61% 수준이였다.
인간의 경우 술을 마시면 도파민과 엔돌핀이 분비돼 행복감과 이완감을 느끼게 된다. 또 술자리를 가지는 행위로 사회적 뉴대감을 형성한다.
침판지들이 빵나무 열매를 먹는 행위는 나이나 성별에 상관 없이 이뤄졌다. 성인 암컷 두마리는 큰 빵나무 열매가 있음에도 더 작고 많이 발효된 열매를 선호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또 수컷 두마리가 열매를 먹기 위해 공격적인 자세를 취하기도 했다.
킴벌리 호킹스 교수는 “침판지 한마리가 하루에 먹는 과일 량이 많아 알콜 섭취량도 결코 적지 않다.”며 “아마 맥주를 마시는 것과 비슷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침판지는 항상 음식을 나눠 먹지는 않기 때문에 이렇게 나눠 먹는 행동이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라며 “인간이 가벼운 맥주를 나눠 마시는 것과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고 해석했다.
그러면서 “이 행동이 파티나 회식 등 전통의 초기 진화 단계일 수 있다.”며 “실제로 그렇다면 인간이 모임을 가지는 전통이 우리 진화 력사의 깊숙한 곳에 그 기원을 두고 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덧붙였다.
외신
- 많이 본 기사
- 종합
- 스포츠
- 경제
-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