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로족(仡佬族)은 우리 나라 귀주성에 살고 있다. ‘중국통계년감—2021’에 따르면 중국 경내의 거로족인구는 67만여명으로 집계된다. 이들은 고대 료인(僚人)의 후예로 알려지고 있으며 본 민족의 언어인 거로어를 사용한다. 하지만 현재는 거로어를 모어로 사용하는 거로족 인구 수가 6000명 미만으로 거로족 총인구의 1.1%에 불과하다. 대부분 거로족은 한어를 주로 구사하고 또 일부는 현지의 묘족어와 부이족 언어를 사용한다. 거로족은 본 민족의 문자가 없으며 국가통용문자를 사용한다. 거로족은 여러갈래가 있고 호칭도 각이하다. 중화인민공화국 창건 후 각지의 거로족 대표와의 협상을 통해 1956년에 이들을 거로족으로 통칭했다.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이 창건되면서 거로족은 새로운 시대를 맞이하게 됐고 1956년에는 준의현 평정향과 인회현 안량향에 2개의 거로족민족향을 세웠다. 그리고 1986년에는 거로족이 집거하는 무천과 도진현에 무천거로족묘족자치현과 도진거로족묘족자치현을 세웠으며 그 뒤 거로족 집거지역에 20여개 민족향을 세웠다.
◆혼인풍속
거로족은 1부 1처의 가정제를 유지하고 있다. 부모가 모두 돌아가고 형제가 많을 경우 맏아들이 세대주 노릇을 한다. 부모가 생전이지만 형제들이 분가할 경우 부모는 막내아들과 함께 산다.
과거 거로족 청춘남녀는 14~15세에 약혼을 했다. 장가가는 날 신랑은 직접 신부를 맞으러 가는 것이 아니라 전날 저녁 가마군을 신부집에 보낸다. 신부집 대문에 들어서려면 신랑측은 신부측의 여러가지 질문에 만족스러운 답장을 해야 한다. 그리고 나서야 꽃가마를 대문 안에 들일 수 있다. 이때 신부의 오빠나 삼촌이 신부를 이끌고 나오며 신부는 마당에서 부모에게 절을 올린 뒤 등을 떠밀리워 가마에 올라타고 마을 밖까지 이동한다.
마을 밖에서는 신랑측 가마가 신부를 대기하며 신부가 도착하면 나팔을 불고 폭죽을 터뜨리며 성대히 맞이한다. 신랑집에 이른 뒤에는 천지신령과 부모 등 어른에게 절을 올린 후 신부는 새롭게 단장을 하고 마을에 나가 이웃들을 만난다. 귀주성 서북의 거로족 혼례풍속은 더욱 재미있다. 신랑이 말을 타고 들러리 4명과 함께 신부를 맞으러 가는데 그중 2명은 비자루를 들고 가고 다른 2명은 술과 고기를 선물로 들고 간다. 가는 길에 신부측이 파견한 건장한 남성 몇몇이 나타나 술과 고기를 빼앗아 그 자리에서 먹어버린다. 이는 신부측 생활이 풍족하니 이 따위 선물은 필요 없다는 의미이다. 신랑이 신부 집앞에 도착하면 또 한무리의 사람들이 손에 나무막대기를 들고 나타나 신랑을 때린다. 이때면 신랑측 들러리가 비자루를 들고 용감히 나서서 신랑을 보호하며 신랑은 그 틈을 타 황급히 신부집 대문에 들어선다. 그 뒤 신랑은 신부와 서로 술을 권하고 마시며 이 식순이 끝나면 신랑은 신부를 말잔등에 안아 올려 집으로 돌아간다.
◆장례풍속
거로족의 장례식은 독특하고 다양하며 지역마다 다르다. 동굴장, 석관장, 석판장 등이 모두 거로족의 전통적인 장례방식이다. 거로족은 또 장례식에서 ‘북 치고 노래 부르며 남녀로소가 시신을 에워싸고 춤을 추는’ 특이한 장례법이 있다. 또 친우들이 조문을 오면 술을 권하는 방식으로 감사를 표하기도 한다. 망자를 묻을 때에는 일부 지역에서만 무당을 청해 날을 잡고 장지를 정하며 경을 읽는다. 거로족은 조롱박을 시조의 상징으로 여겨 감실에 공봉한다. 로인이 숨지면 망자의 손톱을 깎아 조롱박에 넣어 신당내에 모신다.
◆금기사항
거로족은 여러가지 생활금기가 있다. 평소 집 문 앞에 서있거나 앉아있어서는 안되며 출산이나 불상사가 있는 집은 외인을 집안으로 들이지 않는다. 녀성은 출산 40일 미만이면 문턱을 가로타고 지나지 못하며 우물에 가 물을 길어서도 안된다.
거로족은 손님을 열정적으로 대접하는 민족이다. 친척친우들이 만나면 서로 술을 권하고 길일이나 명절에도 술이 빠지지 않는다. 거로족은 청춘남녀가 집에서 산노래를 대창하는 것을 금기시한다. 또 로인들은 어린이에게 돼지족발을 먹이지 않는다. 어린이가 돼지족발을 먹으면 장차 안해를 맞이할 수 없다고 여긴다.
거로족은 또 명절금기도 아주 많다. 그믐날과 정월 초하루는 온 가족이 단란히 모여앉는 날이기 때문에 화를 적게 내고 아이를 욕하지 않는다. 그리고 동네나들이를 하지 않으며 밤중에 폭죽을 터뜨려 재물신을 영접한다. 또 정월 초하루에는 저울을 보거나 저울을 뜨면 새해에 뱀을 만날 수 있다고 여겨 이를 금기시한다. 머리를 빗어서도 안된다. 머리를 빗으면 한해의 운을 날린다고 여긴다. 정월 초하루에는 또 쌀밥을 먹지 않는다. 온 하루 탕원이나 록두가루 또는 면식을 먹는다. 출가한 딸이 친정으로 돌아오면 웃층에 올라가지 못하게 하고 바닥도 쓸지 못하게 한다.
시대가 변화 발전하면서 지금은 상술한 많은 금기가 사라졌다.
중국국제방송
- 많이 본 기사
- 종합
- 스포츠
- 경제
-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