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동성 동관시의 완구산업이 세계로 뻗어나가고 있다.
일전 독일·미국·일본·오스트랄리아 등 20여개 나라의 해외 구매업체가 동관시에 모였다. 이들은 중국대외무역쎈터가 ‘중국수출입박람회’의 주요업체들중 일부를 선정해 구성한 대표단이다. 대표단은 아트토이, 디자이너가구, 차세대 전자제품 등을 제조하는 동관의 대외무역 전환승격기지를 견학했다.
단마르크 F&H그룹의 한 업체 책임자는 자사의 지식재산권 제품을 제조하기에 충분한 생산능력을 갖춘 완구공장을 찾고 있었다. 반면 세계 최대시장이자 아트토이 생산기지인 중국은 생산력 및 시장 확대를 위해 잠재적 공급업체를 물색중이다. 이 책임자는 동관이 대량 생산과 고품질 제품으로 유명하다면서 하나의 기업이 업계의 거의 모든 제품 카테고리를 커버할 수 있다는 점이 매우 인상적이라고 밝혔다.
동관시의 ‘아트토이타운’으로 통하는 석패진에는 약 4000개의 완구제조업체와 1500개의 관련 기업이 모여있다. 디자인에서 샘플 제작, 대량 생산, 물류 및 판매에 이르기까지 전체 가치사슬이 차량으로 15분 거리에 완비되여있다. 덕분에 석패진은 글로벌 애니메이션 파생상품의 4분의 1을 생산하고 있으며 우리 나라 아트토이 시장에서 85%의 점유률을 자랑한다.
동관시는 단순한 계약제조에서 창의성을 갖춘 허브로 발전했다. 인공지능패턴쎈터는 신규 캐릭터를 디자인하고 스마트 팩토리는 3D 프린팅 샘플을 제작한다. 완제품은 물류통로를 통해 신속하게 전세계 매장으로 배송된다. 전통 제조업 지역이던 동관이 창의적 력량을 지닌 제조업으로 전환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이달 8일—11일 동관시에서 열린 ‘제15회 중국국제영상·애니메이션 저작권보호 및 무역박람회’에는 약 10만명의 방문객이 모였다. 여러 건의 대규모 수출계약을 포함한 협력의향 금액은 15억 6000만원에 달했다.
기업 페닉스(Fenix)의 경우 1억 800만원 규모의 AI 기반으로 한 완구를 주문했다. 해당 완구제품은 걷고 말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아이들과 함께 할 수 있다. 한 일본 류통업체는 현지의 산업사슬을 견학한 후 광동 위스아트토이스마트제조회사와 약 1억원의 계약을 체결했다.
광동 위스아트토이스마트제조회사 총경리 리문파는 “지금까지 8회 정도 박람회에 참가해왔지만 올해 가장 큰 성과를 거뒀다.”고 밝혔다. 이어 “고객들이 산업사슬과 제품의 질을 보고 그 자리에서 바로 계약서를 썼다.”면서 “중국 아트토이는 국제 일류 상품으로 자리매김했다.”고 부언했다.
동관시는 8월—10월 글로벌 구매상과 현지 공급업체를 련결하는 접목활동을 30회 이상 개최할 예정이다.
신화사
- 많이 본 기사
- 종합
- 스포츠
- 경제
-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