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보건기구가 세계 곳곳에서 창궐하는 콜레라에 대응하기 위해 백신투여 규정을 완화하며 확산 차단을 시도했지만 여전히 콜레라 발병 사례가 끊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계보건기구는 현지시간으로 13일 성명을 내고 “2021년 중반 이후 세계는 발병 규모와 동시 다발성, 높은 사망률 등을 특징으로 하는 콜레라 급증 현상에 직면해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2021년에는 주로 아프리카와 지중해 동부 등 23개국에서 콜레라 발병이 보고됐고 이후에도 추세가 이어졌다.”면서 “지난해에는 30개국까지 발병 국가가 늘었다.”고 설명했다.
특히 세계보건기구는 콜레라 발병이 잦지 않았던 지역에서도 감염이 확산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강진 피해로 고통을 겪고 있는 수리아는 콜레라 비풍토병 국가이지만 지난해 9월부터 콜레라가 류행하고 있다. 30년간 콜레라 발병이 없던 레바논도 지난해 10월부터 콜레라가 확산중이다.
까리브해의 섬나라 아이띠와 린근의 도미니까공화국도 3년간 콜레라 발병 사례가 보고되지 않던 국가였지만 지난해부터 다시 확산했다.
세계보건기구는 급격한 환자증가로 콜레라 백신부족 현상이 발생하자 지난해 10월 백신 투여 회수를 2회에서 1회로 줄이는 림시 조처를 시행했다.
콜레라 백신은 경구용을 기준으로 1차 투여 후 6개월 이내에 2차 투여를 하면 면역효과가 3년간 지속한다. 1회 투여시 면역기간이 줄어들겠지만 단기간이라도 감염을 막아주는 효과는 립증된 만큼 림시방편으로 투여 회수를 줄이기로 한 것이다.
세계보건기구는 “지금은 계절적 특성으로 인해 세계 각국에 콜레라 전염 확률이 낮은 상황이지만 앞으로 몇달간 발병 사례가 증가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외신
- 많이 본 기사
- 종합
- 스포츠
- 경제
-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