몇몇 직장인들이 태원시 당구편의점에서 식사를 하고 있다.
최근 낮 12시쯤, 산서성 태원시 행화령구에서 일하는 80년대생 주영은 근처 내화서골목 지역사회 식당에 들어섰다. 그는 도마도짜장면 한 그릇과 면탕 한 그릇을 주문했다. 가격은 총 7원에 불과했다.
주영은 “이곳은 값도 싸고 위생적”이라고 말했다. 집에서부터 근무지까지 차로 40분이 걸리는 그에게 근처 지역사회 식당에서 싸고 깨끗한 가정식을 먹는 것은 최고의 선택이다.
지난해 국가 주택및도시농촌건설부와 민정부는 ‘완전한 지역사회를 건설하기 위한 시범사업에 관한 통지’를 발부했다. 이 통지에는 지난해 10월부터 지역사회에 식당을 설치할 것이라고 명시했다. 정부 보조금과 사회 자본의 참여는 지역사회 식당이 더욱 맛 있고 건강한 방향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태원시 지역사회식당협회 부회장 리리는 태원시에 302개의 지역사회 식당이 세워졌다고 말했다. 내화서골목 지역사회 식당을 례로 들면 태원시정부는 일회성 건설 보조금 40만원 이상을 지급했다. 개업 1년간 이곳을 방문한 고객의 3분의 2는 젊은층이였다.
지난해 중국체인경영협회는 ‘2022 중국 도시편의점 발전지수’를 발표했다. 그중 하문, 태원, 동관의 편의점 발전지수가 각각 1~3위를 차지했다.
산서성 태원시 당구마트회사 선임 마케팅 매니저 장력은 “매장에서 신선식품이 상품의 약 3분의 1을 차지하고 있다.”며 “도시락 가격대는 7원에서부터 16원으로 가성비가 높아 20~35세 젊은이들에게 매우 인기가 있다.”고 말했다.
사회 서비스 시설의 개선 뿐만 아니라 인터넷 플랫폼의 발달 역시 젊은이들의 검소한 삶에 더 많은 기회를 제공한다.
‘Keep’은 젊은이들에게 인기 있는 건신앱이다. 언제 어디서나 사용할 수 있고 조작하기 쉬우며 저렴하다는 장점으로 젊은이들을 사로잡았다. 25세의 차림은 매일 40분씩 운동으로 몸매를 가꾸고 있다. 예전에는 회사 근처의 헬스장에 가서 운동을 했던 그는 반년 동안 회원카드에 2199원을 썼다. 그러다가 친구의 추천으로 ‘Keep’을 알게 됐다. 요가 매트와 줄넘기, 덤벨, 폼롤러 등의 장비를 구입하는 데 300원도 들지 않은 데다 장기간 사용할 수 있어 리득인 셈이다.
한때 ‘과소비’라는 꼬리표가 따라다녔던 우리 나라 젊은층의 상황이 변화하고 있다.
점점 더 많은 젊은이들이 ‘신절약정신’이나 ‘리성적인 소비’ 등 꼭 필요한 곳에만 돈을 쓰고 돈을 절약하면서 삶의 질과 체면은 유지하는 방식을 택하고 있다.
중국 소셜미디어 플랫폼에서는 미식, 생활용품, 려행 전략 등과 관련된 다양한 ‘돈 절약 팁’이 공유된다. ‘10원 료리’와 ‘특공대식 려행(시간과 돈을 최대한 절약하며 많은 관광지를 려행하는 것)’은 젊은층 생활의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잡았다. 신화넷
- 많이 본 기사
- 종합
- 스포츠
- 경제
-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