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국제학술지 《자연·통신》에 발표된 한 연구보고에 따르면 모형제작과 3차원 인쇄로 더 진짜에 가까운 의안(义眼)을 ‘맞춤 제작’ 하는 기술이 나왔다. 기존에 비해 더 신속하고 인건비도 더 적게 든다고 한다. 연구진은 이런 기술로 생산한 의안은 외관상 더욱 자연스럽고 적합도 역시 더욱 좋다고 인정하고 있다.
세계적으로 약 800만명이 의안을 착용하고 있다. 의안의 진실복원도는 심리적 공감과 외적 용모에 아주 중요하다. 그러나 현재 맞춤 의안을 생산하는 공예는 시간이 많이 걸리고 또 뛰여난 기술을 가진 일군이 매 환자를 위해 수공으로 제작해줘야 한다. 일반적으로 전반 과정에 8시간 넘게 걸리고 생산해낸 의안의 질도 천차만별이다.
독일 프라운호퍼컴퓨터도형연구소에서 환자 수요에 따라 의안을 생산하는 디지털화 기술을 개발하고 테스트했다. 그들은 광간섭단층촬영을 리용해 환자 10명의 눈확과 건강한 눈을 스캔하고 의안이 눈확모양에 맞추어 자동조절할 수 있도록 했다. 연구진은 다재료 3D 인쇄기를 리용해 무늬가 있는 3D 채색 모형을 인쇄해냈다. 한개 의안을 인쇄하는 데 약 90분 걸리고 100개의 의안을 동시에 인쇄하는 데 10시간가량 소요됐다.
3차원 기술로 인쇄된 의안은 사시눈의 색상과 해부구조, 특히 색상, 크기, 홍채구조, 공막 외관을 아주 잘 복제해낼 수 있다. 이런 의안이 아직 마지막 조절이 필요하긴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인공에 대한 수요가 전통공예의 5분의 1밖에 안되고 최종 더 진짜 같은 의안이 될 것이라고 연구일군들이 밝혔다.
이런 디지털공예를 더한층 개발하면 이왕에 의안사용이 부적합했던 환자(례하면 아동)들도 의안을 착용할 수 있게 된다. 현재로는 의안이 필요한 환자의 약 80%가 이 기술을 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영국 머피안과병원 NHS신탁기금회에서 현재 이런 의안을 림상 테스트하고 있다. 전통방식으로 생산된 의안과 비교하면서 3D기술로 인쇄된 이런 의안의 장기적 표현과 영향을 지속적으로 주목할 것이라고 한다. 과학기술일보
- 많이 본 기사
- 종합
- 스포츠
- 경제
-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