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트병 형태의 음료는 편리하지만 주의사항도 그만큼 많다. 한번이라도 병 입구에 입이 닿으면 세균 번식의 위험이 높다. 세균이 번식한 물은 복통이나 설사, 식중독 등을 일으킬 수 있다. 개봉하지 않은 페트병이라도 잘못 보관하면 품질이 떨어질 수 있다. 안전하게 페트병 물을 마시는 방법을 알아보자.
페트병에 든 물은 뚜껑을 따는 순간부터 세균이 번식하기 시작한다. 한국수자원공사에 따르면 페트병 생수를 개봉하자마자 물 1밀리리터당 1마리의 세균이 검출됐다. ‘한마리쯤이야’라고 생각할 수 있으나 여기서 입을 대는 순간 세균은 급증한다. 입속의 침이 물속으로 들어가 세균이 번식하는 것이다.
실험 결과 뚜껑을 연 페트병에 입을 대고 물을 한모금 마셨더니 세균이 900마리로 늘었다. 입 댄 페트병을 하루 동안 보관했더니 4만마리가 넘는 세균이 생존하고 있었다. 입을 댄 후 페트병 생수는 먹는 물의 기준을 벗어난 셈이다. ‘먹는 물 수질 기준 및 검사 등에 관한 규칙’을 살펴보면 먹는 물은 물 1밀리리터당 세균 100마리 미만이여야 한다. 세균 100마리가 넘으면 먹을 수 없는 물에 해당한다.
입을 대지 않고 마셔도 세균의 위험에서 벗어나기 어렵다. 페트병을 한번 개봉하면 공기중의 있는 세균이 생수로 류입될 가능성이 높다. 세균이 번식하기 때문에 가급적 개봉한 뒤 랭장 보관하거나 빨리 마시는 게 좋다.
개봉하지 않은 페트병 생수도 직사광선이 들지 않는 곳이나 량장고에 보관하는 게 안전하다. 미개봉 생수라도 시간이 지나면 변질 위험이 있다. 외부에서 병을 투과해 들어오는 고온이나 직사광선 등에 악영향을 받는다. 발암물질인 포름알데히드나 아세트알데히드 등 검출 위험도 있다. 페트병 생수 3종과 수입 생수 1종을 대상으로 여름철 오후 2~3시, 자외선 강도 섭씨 50도 정도 조건에서 15일간 로출시킨 뒤 수질을 검사했더니 포름알데르드와 아세트알데히드 등이 검출됐다는 실험결과도 있다.
세균 번식을 막기 위해서는 페트병 생수를 컵에 따라 마시는 것이 좋다. 한번 개봉한 물은 가급적 하루를 넘기지 않도록 빨리 마셔야 한다. 개봉 후 3일 넘게 방치된 물은 과감히 버리는 것이 건강에 리롭다.
페트병을 재사용하는 것은 금물이다. 전문가는 페트병 입구는 좁고 깨끗하게 세척하거나 말리는 게 어려워 미생물 오염 가능성이 있어 일회용으로 사용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외신
- 많이 본 기사
- 종합
- 스포츠
- 경제
-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