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화민족공동체의식을 확고히 다지는 주제문화행사의 일환으로 동북3성 조선족문화관 관장 교류회의 및 문예공연 행사가 7일부터 2일간 흑룡강성 계서시에서 개최되였다.
7일 저녁 7시, 요란한 음악소리와 함께 계서시 시중심에 위치한 목릉하공원 로천무대에서 동북3성 소수민족문예공연 행사가 성대히 열렸다.
계서시당위 선전부장 등 당지 지방 간부들과 동북3성 각지에서 모여온 조선족문화관 관장 등 래빈들이 현지 관중 3000여명과 함께 민족특색이 짙고 수준 높은 공연을 감상했다.
행사는 꽹과리, 장구, 북, 징이 동원된 사물놀이로 첫 막을 열었다.
30여명의 계서시 조선족학생들이 아름다운 민족복장을 입고 무대 우에서 신명 나는 공연을 시작, 공연자들 모두 밝은 표정을 지었고 무대 아래에서는 학부모, 교원, 관중들이 한마음으로 박수를 치고 격려하며 흥겨운 축제의 분위기를 즐겼다.
이어 할빈시조선민족예술관에서 추천한 ‘칼춤’공연이 선보였다. 지난 6월 29일 할빈시조선족운동회 개막식 공연에서도 선보인 이 춤은 우아한 품위와 률동적인 동작으로 궁정무도의 진수를 잘 보여주었다.
주최측을 대표하여 화려한 민족복장을 차려입은 계서시조선족예술관의 리문옥 부관장의 아리랑노래가 관중석을 들썩이게 했고 심양시조선족문화예술관을 대표하여 무대에 오른 김성일씨가 각종 도구를 리용하여 음악소리를 내는 성대모사 시범으로 행사분위기를 한층 고조에 오르게 하였다.
부채, 약병, 비닐봉지 등 손에 잡히는 모든 도구들을 리용하여 새소리, 병아리소리 및 각종 음악소리를 신묘하게 내는 김성일씨는 민족사회에 흔치 않는 ‘구기(口技)예술’의 달인으로 꼽히고 있다.
계서시조선족예술관의 <사랑의 노래> 공연에 이어 등장한 장춘시조선민족문화관 리상호 관장이 <막걸리 한잔>과 <사랑타령>을 뽑자 행사장 분위기는 고조로 달아올랐다. 무대와 관중석이 따로 없이 모두가 하나로 어울리는 흥겨운 축제의 분위기를 연출, 행사가 끝난 후에도 리상호 관장에게 많은 팬들이 몰려가 싸인을 받아가는 등 즐거운 장면들이 목격되였다.
색동저고리 모양의 복장을 곱게 차려입은 목단강시조선민족예술관의 <모란봉> 춤, 대련시조선족문화예술관의 이채로운 바이올린연주, 계서시조선족예술관의 <장고야 울려라> 춤에 이어서 <아, 산간의 봄은 좋아>를 불러 크게 히트했던 김재분 녀성중음가수의 독창 <후룬베이얼 대초원>은 끝없이 펼쳐진 초원과 유유히 흐르는 양떼를 련상하기에 충분했다.
계서시조선족문화관의 색소폰연주와 무용 <즐거운 하루>로 대회는 막을 내렸다. 자리를 뜰 생각을 않고 련신 앵콜을 웨치는 관중들의 모습에서 민족예술의 무한한 매력과 우수성을 다시한번 느끼게 되였다.
8일 오전 10시 공연단 일행은 계서시에서 40킬로미터로 떨어진 밀산시항공공원에 마련된 무대 우에서 두번째 공연을 이어갔다.
밀산시는 항일무장투장의 발원지인 동시에 새 중국 항공사업, 인민해방군장갑병의 요람이기도 하다. 동북민주련군항공학교가 밀산시에서 3년 4개월 운영되면서 밀산시는 인민공군의 탄생지로 불리우기도 한다. 이런 뜻깊은 항공공원 로천무대에서 한민족무대가 펼쳐진 것이다.
소문을 듣고 벌써부터 밀산시 종업원집(职工之家) 최공철 회장을 비롯한 회장단 및 회원들과 여러 단체의 조선족들이 행사장을 찾아와 멀리서 온 손님들을 반갑게 맞아주었다. 밀산시인민정부 맹고군 전임 부시장도 현장을 찾아 동북3성 각지에서 온 조선족문화관 관장 여러분들에게 인사했다.
밀산공연행사에는 계서시조선족예술관 리승일 관장, 심양시조선민족예술관 박석호 관장, 대련시조선족문화예술관 황호철 관장, 장춘시조선민족문화관 리상호 관장, 목단강시조선민족예술관 백영 관장, 무순시조선족문화관 한광욱 관장과 밀산시조선족문화관 남경옥 관장이 자리를 함께 했다.
계서시조선족문화관이 주축이 되여 만들어진 이번 문예공연 및 교류행사가 무더운 여름철의 시원한 소나기가 되여 변방지역 우리 민족들의 문화예술 갈증을 해소하는 데 도움이 됐다.
흑룡강신문
- 많이 본 기사
- 종합
- 스포츠
- 경제
-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