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온난화로 북극해의 해빙이 모두 녹는 시기가 기존 예측보다 이른 2027년이 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콜로라도대학교 볼더캠퍼스 교수인 알렉산드라 얀과 스웨리예 예테보리대학교 호이체 교수 연구팀은 컴퓨터 모의를 통해 북극해의 얼음이 극도로 녹는 일명 ‘얼음 없는 날’의 시기를 2027년으로 예측한 연구결과가 3일 국제학술지 《자연·통신》에 발표됐다.
‘얼음 없는 날’은 북극에서 한달 평균 해빙면적이 100만평방킬로메터 미만이 되는 상태이다. 지구온난화가 얼마나 북극을 위협하고 있는지 가늠하는 지표이다. 북극 해빙은 해빛을 우주로 반사해 북극을 온난화로부터 보호하기 때문이다. 해빙이 줄면 바다물이 더 많은 태양열을 흡수해 북극과 전세계 기온을 상승시킨다. 북극 온난화는 또 바람과 해류 모식을 변화시켜 극심한 기상 이변을 일으킬 수 있다.
연구팀에 따르면 기존 연구에서는 ‘얼음 없는 날’이 2030년대에 처음 발생할 것으로 예측됐다. 연구팀은 ‘얼음 없는 날’중에서도 여름철중 언제 해빙이 녹게 될지에 초점을 맞췄다. 얼음 없는 첫날이 얼음 없는 첫 달보다 먼저 찾아올 것이기 때문에 이에 대비해야 한다고 연구팀은 표했다.
얼음 없는 첫날을 예측하기 위해 연구팀은 300개가 넘는 컴퓨터 모의를 분석했다. 그 결과 얼음 없는 첫날은 온실가스 배출량 변화에 관계없이 2023년 이후 9~20년 이내에 발생할 것으로 예측됐다. 이중 극단적인 기상 씨나리오가 적용된 9개 모의에서는 북극해 얼음 없는 날이 3~6년 안에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북극이 3년 이상 극심한 온난화를 겪으면 늦여름에 얼음 없는 날이 발생할 수 있다고 말했다. 기상 이변이 있을 경우 200만평방킬로메터 이상의 해빙이 단기간에 녹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온실가스 배출량을 대폭 줄이면 얼음 없는 북극이 오는 시기를 늦출 수 있다고 말했다. 얼음 없는 북극해가 유지되는 기간도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외신
- 많이 본 기사
- 종합
- 스포츠
- 경제
-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