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채꽃, 벗꽃, 배꽃… 청명이 지난 요즘 봄꽃이 만개해 관광객들의 발길을 사로잡고 있다. 강소성 각지에서 ‘꽃나들이 경제’ 기회를 통해 지역경제 진흥에 나서고 있다.
흥화시 천타관광지 들판에 유채꽃이 활짝 폈다. 관광지 린근에 위치한 과람민박의 책임자 장충위는 “민박수요가 폭증하고 있다.”며 “피크 시즌에는 객실 구하기가 하늘의 별 따기”라고 말했다.
그는 꽃나들이 관광에 힘입어 이 지역에 약 100개의 농가락과 40여개의 민박이 들어섰다고 소개했다.
트램을 타고 소주시 태호과학성 기능구역에 들어서면 길을 따라 량옆으로 펼쳐진 벗꽃밭에서 꽃을 감상하고 사진을 찍는 관광객으로 북적인다. 일부 관광객들은 꽃구경이 끝난 후 소주시 수산촌을 찾았다.
상해 출신 관광객 왕예뢰는 “꽃구경, 전통시장 쇼핑, 현지음식 맛보기까지 ‘꽃나들이 3종 세트’를 제대로 즐겼다.”고 말했다. 수산촌에서 농가락을 운영하고 있는 오진은 “관광객이 많아져서 소비도 살아났다. 특히 배꽃 시즌에는 일평균 매출이 평소의 3배에 달한다.”고 밝혔다.
강소성 여러 지역에서는 ‘꽃나들이 경제’ 효과 확대를 위해 소비구조의 혁신에 힘쓰고 있다.
고우시는 황페했던 호수가를 재정비해 호수 우에 꽃바다를 조성했다. 관광지에서 관광객들은 유채씨 수확, 유채씨 기름짜기 등 다양한 체험도 할 수 있다. 이곳의 유채씨 기름은 ‘호상화해’ 브랜드 이름을 달고 홍보, 판매되고 있다.
흥화시는 섬 모양으로 만든 경작지인 타전을 중심으로 ‘봄에는 유채꽃, 여름에는 련꽃, 가을에는 국화꽃, 겨울에는 갈대꽃’을 볼 수 있는 문화관광 명소를 구축했다. 이로써 봄 시즌에 한정되였던 꽃나들이 경제를 사계절로 확장했다는 평가이다.
수산촌은 추관 배, 양매, 운천차(茶)로 구성된 ‘수산 3가지 보물’ 브랜드를 출시해 재배·가공·관광으로 이어지는 서비스 사슬을 마련했다. 지난해 수산촌의 농부산물 총수입은 6000만원 이상, 주민 인당 년평균 수입은 5만 8000원에 달했다.
소주대학 향촌진흥연구원 특별초청 연구원 전지건은 “‘꽃나들이 경제’는 꽃을 매개로 농촌발전에 동력을 불어넣고 있다.”며 “이는 문화관광 소비 업그레이드를 촉진할 뿐만 아니라 산업생태를 재편성하고 있다.”고 부언했다.
신화사
- 많이 본 기사
- 종합
- 스포츠
- 경제
-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