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버지의 해방일지》는 한국의 작가 정지아가 쓴 장편소설로 아버지의 죽음을 맞이한 딸이 남긴 기록과 회고를 통해 개인의 력사와 사회적 맥락을 교차시켜 서술한 작품이다. 이 소설은 가족사와 한국 현대사가 교차하는 지점에서 인간적 갈등과 화해 그리고 기억에 대한 이야기를 그려낸다.
“아버지가 죽었다.”로 강렬하게 시작하는 책의 서두는 최고의 눈물을 예고할 것 같지만 이야기는 전혀 예상치 못한 곳으로 흘러간다. 아버지는 소총을 들고 지리산과 백운산을 누빈 소위 적색분자였다. 그는 일제강점기가 끝난 후 평등한 세상을 꿈꾸며 싸웠으나 처절하게 패배한다. 동지들은 하나, 둘 죽고 아버지는 위장 자수로 조직을 재건하려 하지만 그마저 실패한다. 그럼에도 아버지는 진지했고 평생을 리상주의자로 살았다. 평등한 세상이 올 거라는 믿음을 포기하지 않았고 생판 초면인 이들의 어려움도 무시하지 않았다. ‘나’는 그런 아버지를 리해하지 못하는 것은 물론 조금 우습강스럽게 생각한다. 누구나 배불리 먹고 차별 없이 교육받는 세상이 이미 이뤄진 마당에 혁명을 현재에 둔 듯 행동하는 아버지의 모습은 누가 봐도 블랙코미디에 가깝기 때문이다. 그렇게 평행선을 달려온 ‘나’와 아버지, 그런 아버지가 죽었다. 그것도 전보대에 머리를 박고.
이 이야기는 네줄기로 이뤄진다. 첫번째는 아버지와 평생을 반목해온 그의 동생인 작은아버지와의 이야기이다. ‘빨갱이’ 형 때문에 집안이 망했다고 생각하는 작은아버지는 형의 죽음을 알리는 전화를 대꾸도 없이 끊을 만큼 랭담하다. 평생 술군으로 산 작은아버지는 이따금 집에 찾아와 “니는 그리 잘나서 집안 말아묵었냐?”라며 행패를 부리기도 했다. 그때마다 아버지는 맞서지 않고 묵묵부답이였다. ‘나’는 차라리 작은아버지가 장례식장에 나타나지 않기를 바란다. 그의 등장 여부는 장례식장에 모인 모두의 관심사인 한편, 독자들도 책을 읽는 내내 흥미진진 궁금하게 지켜보게 된다. 죽은 아버지와 산 작은아버지는 화해할 수 있을가.
두번째는 구례에서 아버지가 사귀여온 친구들의 이야기이다. 이들의 면면은 실로 다양하고 립체적이라 살펴보는 것만으로 한편의 시트콤을 보는 듯하다. 아버지의 소학교 동창이자 시계방을 운영하는 박선생, 그는 평생을 군인과 교련으로 살아왔기 때문에 대척점에 있지만 아버지의 둘도 없는 친구이다. 지향 차이로 발생하는 두 로인의 투닥거림은 어딘지 귀엽기도 하다. 그리고 이 장례식에 어울리지 않게 등장한 새노란 머리의 소녀, 어찌된 영문인지 그는 아버지의 “담배친구”란다. 17살 소녀와 허물없이 친해지는 것은 아버지이기에 가능한 일이지만 아버지의 캐릭터는 여전히 웃음을 자아낸다. 그 밖에 학수를 비롯해 아버지의 아들을 자처하는 많은 사람들, 총부리를 맞서고 싸웠지만 이윽고 친구가 된 웃지 못할 사연들이 속속 등장한다.
세번째는 나와 아버지의 이야기이다. 이 작품의 가장 큰 줄기는 ‘빨찌산의 딸’로 힘들게 살아온 딸이 아버지를 리해하는 과정이다. 사회주의자이고 혁명전사였고 생활력이 없는 데다가 ‘보증’을 서주는 일도 마다하지 않았기에 늘 가난했던 집안 형편은 전부 아버지 탓이였다. 시도 때도 없이 아버지가 늘여놓는 장광설은 지금 현실과는 맞지 않았고 그런 만큼 ‘나’는 아버지가 있는 고향을 떠나고 싶어했다. 그런데 아버지의 죽음 이후 ‘나’는 내가 알던 아버지의 얼굴이 아주 일부였음을 깨닫는다. 아버지의 합리적이고 현실적인 면들이 밝혀지고 사람들을 감화시킨 담대한 모습들도 드러난다. 무엇보다 내가 잊고 있었던 ‘나’를 사랑했던 순간순간들이 떠오른다. 마침내 ‘나’는 아버지의 유골을 손에 들고 아버지를 가장 아버지다운 방식으로 보낼 결심을 한다.
마지막 네번째는 어머니와 아버지 사이의 일화들이다.이들은 서사의 무게를 한층 발랄하게 만들며 독자들의 웃음을 자아낸다. 평생의 동지이자 그 역시 사회주의자였던 어머니는 아버지보다는 현실적이다. 그래서 아버지는 이런저런 일로 늘 구박을 받는다. 옷을 털지 않아서 술 담배를 끊지 못해서와 같은 소소한 일도 있고 빚보증을 서서 농사를 내팽개친 것과 같은 큰일도 있다. 어찌 보면 앙숙 같은 이들은 때론 경건하게 하나가 되기도 하는데 이러한 장면은 아버지의 삶을 리해하는 유쾌한 촉매제가 되여준다.
소설은 아버지의 죽음 이후 3일간의 시간만을 현재적 배경으로 다루지만 장례식장에서 얽히고설킨 이야기를 따라가다 보면 웅장한 스케일과 함께 압도적인 몰입감을 동시에 안겨준다.
“재미와 감동이 모두 충족한 훌륭한 소설”, “력사 속의 한 사람을 바라보는 시선이 흥미롭다”, “유쾌한 문장 속에서 깊은 인생을 발견하게 된다”, “주변에 추천하는 단 한권의 책”…
가슴 먹먹한 감동, 정지아의 손끝에서 펼쳐지는 시대의 온기, 정지아가 무려 32년 만에 내놓은 이 소설은 아버지가 생을 마감하면서 딸은 그동안 잘 알지 못했던 아버지의 삶과 신념 그리고 그가 속했던 시대적 맥락을 탐구한다.
“나는 밥처럼 사람을 먹여 살리는 소설을 쓰고 싶고 농민처럼 글에 땀을 흘리고 싶다.”
‘한국판 여화(余华, 한국에서 가장 환영을 받고 있는 중국 당대작가)’라고 불리면서 써내는 작품마다 삶의 현존을 정확하게 묘사하며 독자와 평단의 찬사를 받아온 저자는 이번에 력사의 상흔과 가족의 사랑을 엮어낸 대작을 선보임으로써 선 굵은 서사에 목마른 독자들에게 한모금 청량음료 같은 해갈을 선사한다.
쏟아지는 극찬과 함께 이 소설은 한국 최고의 문학상을 두루 휩쓸면서 여러 언론으로부터 23주 련속 추천을 받기도 했다.
- 많이 본 기사
- 종합
- 스포츠
- 경제
-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