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기술의 응용장면이 ‘지능고객봉사’가 봉사 능률성을 향상시키는 데서부터 보조운전으로 교통출행을 개선하는 데까지 끊임없이 확장되여 대중의 생산과 생활을 심각하게 변화시키고 있지만 일련의 신형 AI 범죄가 사회의 안전에 심각한 도전을 초래하고 있다. 인공지능의 건강하고 질서 있는 발전을 추진하고 신형 AI 범죄에 대한 단속과 예방을 강화하는 것은 공안기관이 시급히 대응해야 할 중요한 과제이기도 하다.
심층위조기술 람용은 신형 AI 범죄의 ‘중대 피해지역’으로 이런 범죄는 대중과 기업의 권익을 침해하고 신뢰에 영향 주어 그 잠재적인 위협이 크다. 자동화 해킹도구의 부상은 인터넷안전 보호 뿐만 아니라 심지어 국가의 핵심정보 기반시설 안전까지 위협하고 있다.
공안기관은 신형 AI 범죄에 직면하여 효과적인 대응방안을 적극적으로 모색하며 관련 국가 중점실험실과 협력하여 즉시통신, 금융결제 등 주요분야의 앱에 대해 얼굴인식 안전평가를 실시하고 운영주체가 보호조치를 강화하도록 신속히 독촉해야 한다. ‘인터넷정돈’ 특별행동을 통해 정보류출범죄를 근본적으로 단속하여 ‘AI 얼굴 바꾸기’ 사기 등 범죄의 다발생 추세를 효과적으로 억제해야 한다.
신형 AI 범죄를 타격하는 과정에서 공안기관은 기술수단을 더욱 강화해야 한다. 한편으로는 AI 대응기술에 대한 연구개발투자를 강화하여 AI 기술을 통해 심층위조내용을 식별하며 자동화 해킹도구의 공격행위를 신속하게 검측, 발견하고 정확하게 타격해야 한다. 다른 한편으로는 과학연구기관 및 기업과의 협력을 강화하여 타격합력을 형성해야 한다. 또한 AI 범죄수단이 끊임없이 변화하는 데 비추어 법률체계는 더욱 세분화되고 보완되여야 하며 AI 범죄의 판정기준과 처벌 강도를 명확해야 한다.
AI 범죄를 단속하고 예방하려면 공중교육을 강화해야 한다. 선전을 통해 대중의 예방의식을 높이고 개인생물정보를 보호하며 불분명한 링크나 이메일을 신중하게 클릭해야 한다. 지역사회 강연, 뉴미디어 등 경로를 통해 선전을 진행하거나 온·오프라인 결합, 기술과 선전 협력을 통해 ‘전 국민 참여, 전 지역 피복’의 방어성 네트워크를 구축한다.
인민공안보
- 많이 본 기사
- 종합
- 스포츠
- 경제
-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