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계 5~19세 사이 아동·청소년 비만률이 처음 저체중률을 넘어섰다고 유엔아동기금이 9일(현지시간)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전세계 기아를 줄이기 위한 노력이 성과를 거두면서 아동·청소년의 저체중률은 2000년의 13%에서 올해 9.2%로 감소했지만 같은 기간 비만률은 3%에서 9.4%로 3배 넘게 급증했다.
유엔아동기금은 비만률이 저체중률을 처음으로 앞지른 올해를 력사적 전환점이라고 표현했다.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와 남아시아를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비만률이 저체중률을 앞질러 전세계 아동·청소년 10명중 1명꼴인 1억 8800만명이 비만에 시달리고 있다.
이러한 문제는 개인이나 가정의 잘못된 식습관 때문이 아니라 리윤을 추구하는 기업들의 비륜리적인 마케팅 때문이라는 게 유엔아동기금의 진단이다.
유엔아동기금의 영양분야 법률전문가인 캐서린 섀츠는 “아이들은 특히 학교에서도 설탕이 가득한 음료와 짠 즉석음식과 같은 건강에 해로운 음식광고에 무분별하게 로출되여있다.”고 지적했다.
이러한 정크푸드(垃圾食品)가 신선한 과일, 야채, 단백질보다 저렴해 가정의 식단에서 점차 신선식품을 대체하고 있다는 점도 문제로 지적되였다.
유엔아동기금은 이를 아이들이 건강하게 자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지 못한 ‘사회의 실패’로 규정했다. 또한 운동만으로는 건강에 해로운 식단의 악영향을 제거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유엔아동기금은 보고서를 통해 건강한 식품환경 조성을 위해 정크푸드광고 제한, 기업에 대한 세금 부과, 신선농산물 생산 장려 정책 등 구속력 있는 조처를 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외신
- 많이 본 기사
- 종합
- 스포츠
- 경제
-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