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일환, 김명협의 꾸준한 농심
기계화를 하면서 능률이 엄청 올라갔다.
흑룡강성 학강시 라북현 동명향 려명촌의 김일환, 김명협은 곁눈질 없는 규모화 농사 한우물 파기를 견지하면서 삶을 꾸준히 경영해가고 있는 농업인이다.
김일환(52세)과 김명협(64세)은 젊은 시절부터 농사일에 착수해 현재는 각기 100헥타르가 넘는 농지를 경작하고 있다.
김일환은 20대에 수전 7헥타르로 시작해 현재 농경지가 130헥타르가 되였는데 그중 수전이 60헥타르이며 한전(옥수수)이 70헥타르이다. 한전은 지난 세기 90년대 후기에 이미 20헥타르 보유하고 있었는데 몇년 전 옥수수 수매가격이 좋아 대면적으로 개답했다.
60헥타르에 ‘원립쌀’ 품종을 모내기로 파종하고 벼를 수확하면 현 량식창고에 넘긴다. 근당 1.31원에 국가 재배자보조금 0.1원을 합하면 수입이 1.41원이다. 원립쌀을 재배하는 리유는 국고에 들어가는 량식 가격이 안정적이기 때문이라 한다. 헥타르당 생산량은 약 9톤이고 톤당 리윤은 약 2600원이다. 인력, 물력 원가를 공제하면 헥타르당 7000원 수익을 본다. 옥수수는 국고가 아닌 시장에 나가기 때문에 시세에 따라 가격이 다르다. 올해는 시세가 지난해보다 떨어졌는데 헥타르당 14톤의 산량이 보장돼야 일정한 수입이 남는다고 했다.
규모화 농사를 시작해서부터 기계화작업을 하고 있는데 현재 콤바인 4대, 고무바퀴트랙터 4대, 지게차 1대, 드론 1대를 갖췄다. 비료를 주고 농약을 뿌리는 일은 드론으로 한다. 모내기를 고집하다 보니 모내기철에만 삯군 30명을 고용하고 있다.
김명협은 수전 30헥타르, 옥수수 100헥타르를 다루고 있다. 지난해 옥수수 시세가 좋아 수전 100헥타르를 전부 한전으로 개답했다. 벼는 ‘장립향’을 재배하고 있는데 김일환의 원립쌀과 달리 시장에 나간다. 나라에서 가공기업을 고려해 질 좋은 쌀을 먼저 시장에 내놓는 걸 허락했기 때문이다. 그만큼 장립향 가격은 시세에 따른다.
기계화를 하면서 능률이 엄청 올라갔다. 드론으로 파종하니 종자가 매우 고르게 뿌려진다. 농약을 뿌리거나 비료를 줄 때 드론이 작업하다가 농약이 떨어져 다시 장전해서 띄우면 작업이 정지된 시점에서 다시 구석구석 빠뜨리지 않고 작업하는데 정밀하기 그지없다. 옥수수는 파종할 때 종자 한알이 안 떨어져도 파종기가 신호를 보낸다. 고장이 생겨도 신호가 온다. 그래서 일할 멋이 있다고 한다.
이들은 수십년간 농사일을 하면서 익숙할 대로 익숙해져 어떤 일에도 담담할 법한 실농군이지만 새로워지고 있는 농업의 모습에 찬탄을 련발했다. 기계작업을 하니 능률도 엄청 높고 힘든 일이 별로 없다. 수확철에 수확기로 작업하면 수전의 경우 하루에 10헥타르 정도 수확할 수 있으니 재배규모가 큰 이들도 며칠이면 수확이 끝난다. 다만 농기계의 마모가 빨라 어쩔 수 없이 3, 4년에 한번씩 교체하는데 돈이 적잖게 들어가는 것도 현실이다.
이들은 농촌에 있으면서 할 수 있는 일중에 벼농사가 가장 안정적이라고 말한다. 사람이 힘들고 비용이 많이 들어가고 해도 나라에서 가격을 안정적으로 조절하기 때문에 가격파동이 적고 소득이 어느 정도 보장되기 때문이다.
1년에 한번 농사하기 때문에 어떻게 똑같은 면적을 부쳐서 수익을 올리느냐가 이들에게 가장 관건적인 문제이다. 마찬가지로 농사를 쭉 해온 림정길 촌당지부 서기는 “원래 벼농사는 육모외에 특별히 산량을 높일 방법은 없고 특별한 기술도 없으니 하늘 봐서 한다. 할 수 있는 건 하나는 일손 관리이다. 스무공을 쓰면 될 걸 서른공을 쓰면 지출이 늘기 때문에 잘된 관리가 필요하다. 둘째는 품종선택이다. 해수를 봐서 품종을 잘 선택해야 하는데 벼종자를 잘 고르면 헥타르당 9톤 나는데 잘못 골라서 1톤 적게 나면 그만큼 적게 번다.”라고 말했다.
그리하여 종자상점과 농가들을 데리고 가목사 벼연구소, 련강구 벼연구소 등에 다니면서 조사 연구하고 품질을 대조해 구매한다. 옥수수도 다른 지역에 돌아다니면서 보고 품종을 관찰하고 도복되는지 여부를 비교해 심어보고 산량이 좋으면 대면적으로 보급한다. 림서기는 “모르는 품종을 처음부터 대면적으로 심으면 안된다.”고 말했다.
수십년간 마을에 쭉 있는 동안 해외 돈벌이 시도는 해본 적 없다. 오래동안 모든 일을 스스로 결정하고 추진하는 데 습관돼 사장이나 다름없는 이들은 “남 밑에서 눈치 보며 일을 못한다.”고 실토한다.
김명협은 올해 4월 연변소를 60마리 거뒀다. 송아지를 샀는데 래년에 30마리 정도 낳는다고 한다. 벼짚과 옥수수장을 사료로 쓰고 650평방메터 되는 우사를 지었다. 도합 55만원을 투입했다. 비록 요즘 소고기 시세가 잠시 ‘흐림’이라고는 하지만 꾸준한 농심은 해맑은 날을 기대하고 있다.
흑룡강신문
- 많이 본 기사
- 종합
- 스포츠
- 경제
-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