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꾜 8월 6일발 신화통신 기자 류춘연] 《일본경제신문》 웹사이트의 보도에 따르면 일본 시간으로 6일 오전 미국을 방문중인 일본 경제재생대신 아카자와 료마사가 기자에게 “미국측이 공포한, 8월 7일부터 부과하기로 한 관세에 관한 공식 공고가 최근 일미 쌍방이 달성한 협의와 일치하지 않아 일본이 더 높은 관세에 직면하게 되였는바 일본은 미국측에 이를 시정할 것을 요구할 것”이라고 밝혔다.
7월 22일 미국과 일본은 무역협의를 달성하여 일본에 적용되는 ‘대등 관세’의 세률은 15%로 변경된다. ‘대등 관세’에는 소위 10%의 ‘기준 관세’가 4월부터 이미 징수되고 있기 때문에 8월부터 일본에 적용되는 세률은 10%에서 15%로 인상된다.
아카자와 료마사는 “앞서 미국측과 반복적으로 확인한 결과 기존 세률이 15% 미만인 상품에 대해서는 8월 세률이 인상 후 총세률이 15%가 되여야 한다. 하지만 미국 정부가 최근 발표한 공보에 따르면 이미 관세가 부과된 일본 상품은 기존 세률에 15%를 더 추가해야 하는데 이는 (협의의) 내용과 일치하지 않으며 일본에 불리하다.”고 밝혔다.
아카자와 료마사는 “미국측에 관련 경과에 대해 설명할 것을 요구하고 량측이 이미 합의한 내용을 리행할 것을 요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카자와 료마사는 또한 “일본과 미국이 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 관세를 15%로 인하하기로 합의했지만 구체적인 인하 시기는 아직 확정되지 않았으며 이번 방문의 시급한 과제는 미국측에 가능한 빨리 이를 리행해줄 것을 요구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앞서 일본 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이 현재 미국측으로부터 27.5%의 관세를 부과받아 관련 산업이 매일 막대한 손실을 입고 있다.”고 밝혔다.
일미 협의중 일본이 미국에 5500억딸라를 투입하기로 약속한 것에 관해 최근 트럼프 대통령은 (해당 금액을) 미국측이 원하는 대로 다양한 투자에 사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아카자와 료마사는 일본기업과 일본 경제에 리롭지 않으면 일본측은 협력할 수 없다고 표했다.
- 많이 본 기사
- 종합
- 스포츠
- 경제
-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