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건성 전통 제조기업들이 스마트기술 도입으로 혁신을 거듭하면서 ‘승승장구’하고 있다.
복건성판판식품그룹은 감자칩에서 시작해 년간 80억원이 넘는 매출을 자랑하는 업계 굴지의 기업으로 성장했다.
고소한 빵냄새가 풍기는 판판식품의 스마트공장에서는 우유, 닭알, 밀가루 등 원료의 배합을 그람 단위로 정확히 계량한다. 반죽이 완성되면 절단, 성형 등 과정을 거쳐 제빵 틀 안에 정확히 옮겨담고 발효를 거친 후 오븐에서 구워진다. 이 모든 과정은 스마트 장비 및 시스템으로 이루어진다.
지난 2023년 판판식품은 생산공장을 스마트공장으로 개조했다. 인공지능, 5G+사물인터넷 등 기술의 도입으로 전통적인 가공방식에서 정밀화·표준화·자동화 방향으로 업그레이드했다. 덕분에 엔지니어가 설비의 가동상태, 온습도, 생산량 등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파악해 제품 품질을 까다롭게 관리할 수 있게 되였다.
판판과 같은 식품 가공업 뿐만 아니라 운동화, 섬유∙의류 등 산업도 기술혁신을 이루고 있다.
해외 유명 운동화 브랜드 다수에 원단을 공급하고 있는 신태과학기술회사도 스마트작업장을 운영중이다. 컴퓨터 버튼 한번에 편직 명령이 입력되여 전자동 편직기가 원단을 만들어낸다. 로동자 한명이면 기계 10여대도 충분히 동시 관리할 수 있다.
쌍지과학기술회사의 맞춤형 제작 공장점은 신발 한컬레도 ‘똑똑하게’ 생산한다.
고객이 신발과 양말을 벗고 전용장비에 올라가 15초만 기다리면 고객의 발 길이, 너비, 아치 높이 등 족형 데이터가 측정된다.
AI는 해당 데이터를 리용해 고객에게 맞는 신발 모양과 깔창을 추천하고 소비자는 색채와 같은 디테일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주문이 접수되면 공장내 스마트생산라인이 즉시 가동된다. 빠르면 약 두시간 만에 맞춤형 새 신발 한컬레가 뚝딱 완성된다.
“전통적인 생산방식으로라면 신발 한컬레의 리윤이 5%밖에 되지 않지만 맞춤형 생산으로는 10% 이상의 리윤을 남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다.” 쌍지과학기술회사 부회장 주익진의 말이다.
보전시는 제화 및 신발 소재 기업이 4200개가 넘으며 종사자 수도 50만명을 웃돈다. 특히 최근 수년간 ‘브랜드 혁신’과 ‘스마트 제조’ 병행의 길을 적극 모색하며 기업의 스마트 개조 및 디지털 전환을 촉진하고 있다. 보전 신발이 최근 들어 고급제품으로 거듭날 수 있었던 비결이기도 하다. 신화사
- 많이 본 기사
- 종합
- 스포츠
- 경제
-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