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국경절과 추석명절 련휴가 겹치면서 소비시장의 열기가 일층 고조되였다. 도심 상권에서부터 지방 플리마켓까지, 문화체험부터 스포츠경기까지 소비무대가 폭넓게 확장되고 업종간의 융합이 가속화되며 련휴소비의 생생한 풍경이 펼쳐졌다.
◆체험형 문화소비, 새로운 소비트렌드로 부상
북경원박원(园博园)에서 ‘희곡문화’를 주제로 열린 플리마켓이 이번 련휴기간 많은 관광객의 발길을 사로잡았다. 생활 속으로 스며든 무형문화유산 수공예품을 선보였고 부스마다 방문객들이 몰려 활기를 더했다.
다양한 팝업 스토어와 오픈행사도 련휴기간 소비열기를 끌어올렸다. 북경 서단 조이시티(大悦城)는 ‘랑랑산 꼬마요괴’ 테마 팝업스토어가 문을 열어 큰 인기를 끌었다.
북경시상무국에 따르면 올 들어 북경에 문을 연 신규 1호점은 600곳을 넘었으며 이중 상당수가 국경절 전후로 잇달아 오픈한 것으로 나타났다.
새로운 창의적 공간의 잇달은 등장으로 소비자들은 단순히 ‘물건 구매’에 그치지 않고 감성, 체험, 추억에 지갑을 열고 있다. 문화소비의 새로운 흐름이 형성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경기장 밖까지 확장되는 스포츠 소비 열기
이번 련휴기간 북경시에서는 ‘차이나오픈’과 ‘월드테블테니스’ 차이나스매시 등 국제 최상위급 대회가 열리며 ‘경기+상권’의 혁신적 소비모델이 주목을 받았다. 경기티켓을 소지한 관람객은 음식·소매·엔터테인먼트·문화·스포츠 등 200여개 매장에서 할인혜택을 누릴 수 있어 관람체험이 경기장 안을 넘어 다양한 소비 공간으로 확장되였다.
석경산문화관광의 관련 통계에 따르면 지난 3일 기준 ‘월드테블테니스(WTT)’ 차이나스매시(中国大满贯)는 8만 5000장 이상의 티켓을 판매했다. 티켓 매출은 8700만원을 기록해 전년 동기 대비 52.6% 증가했다. 이에 따른 파급효과로 북경 수강원일대에서 루적 소비가 3000만원을 넘어섰다.
◆곳곳으로 번지는 쇼핑 열기
1일, 귀주성 준의시 수양현에서 열린 ‘국경절·추석맞이’ 음악·미식 페스티벌 현장에서는 여러 향, 진의 우수 농특산물이 한자리에 모여 시민과 관광객들이 시식과 구매를 즐기는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행사는 ‘황금련휴’기간 현 지역의 소비가 활발히 일어나고 있는 단면을 보여준다. 호남성 주주시 차릉현에서 열린 국경절 소비시즌 행사에는 국경절 첫날 14만명이 넘는 시민과 관광객이 몰렸다. 농산물, 가구 전시·판매, 미식, 문화창의 제품 등 매출액이 308만원에 달했으며 음식점과 숙박업 등의 매출도 2100만원을 넘어섰다.
플리마켓외에도 여러 지방에서는 소비쿠폰 발행과 이구환신 행사를 통해 주민들의 소비를 진작하고 있다. 감숙성의 천수시 청수현은 120만 5000원 규모의 특별자금을 투입해 소비재 이구환신 행사를 펼쳤다. 강서성 길안시 수천현은 마트·외식·숙박·차 산업·일반 소비 등 5개 분야를 대상으로 100만원 상당의 전자 소비쿠폰을 단계적으로 발행해 소비를 촉진했다.
신화사
- 많이 본 기사
- 종합
- 스포츠
- 경제
-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