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검진에서 고지혈증(이상지질혈증) 판정이 나오면 깜빡 놀라는 사람이 있다. “나는 고기나 기름진 음식을 거의 먹지 않는데, 왜?”라며 의문을 품는다. 평소 채식 위주의 식사를 하는 데도 콜레스테롤이 높게 나오면 허탈해진다. 왜 그럴가? 육류를 싫어해도 공장에서 만든 가공식품을 좋아하면 고지혈증에 걸릴 수 있다. 혈액 건강과 음식의 관계에 대해 다시 알아보자.
◆콜레스테롤 농도에 가장 큰 영향…뜻밖에 몸속의 간
해외자료에 따르면 혈장 콜레스테롤 농도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은 간이다. 간에서 만들어지는 콜레스테롤과 간으로 제거되는 콜레스테롤의 량이 영향을 미친다. 음식으로 콜레스테롤을 섭취하는 것보다 간에서 콜레스테롤의 합성이 증가하는 것이 더 문제이다. 간에서 콜레스테롤 합성을 부추기는 것은 포화지방산이다. 포화지방산의 과잉 섭취로 인해 콜레스테롤이 늘어나는 것이다. 또 불포화지방산을 포화지방산보다 덜 먹어 몸에 부족할 경우 혈중 콜레스테롤이 증가한다.
◆고기 싫어해도 빵, 과자, 라면 너무 좋아…유전의 영향도
비계가 많은 육류가 아니더라도 빵, 케이크, 과자 등에는 포화지방산이 많은 제품이 있을 수 있다. 성분을 잘 살펴서 구입하는 게 좋다. 식물성 식용유중 라면 등에 사용하는 팜유에도 포화지방산이 많다. 종려나무 열매에서 짜낸 기름인 팜유는 마가린이나 식용유를 만드는 데 쓰인다. 유전도 영향을 미친다. 부모가 고콜레스테롤혈증이 있는 경우 위험도가 높아진다. 갑상선기능저하증이 함께 있을 경우 콜레스테롤 분해 능력이 떨어져 콜레스테롤 수치가 올라가게 된다.
◆잘못된 식습관 반복할 경우…위험한 심장병, 뇌졸중(뇌경색·뇌출혈)으로 발전
기름진 음식을 많이 먹지 않는 데도 콜레스테롤이 높다면 포화지방산 함량이 많은 빵, 과자류 또는 식용유로 만든 음식의 과다 섭취 여부를 따져보는 것이 좋다.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 점검 또는 갑상선호르몬 검사 등을 통해 원인을 정확하게 파악해야 한다. 유전 등이 확인되면 식습관 관리에 더욱 공을 들여야 한다. “어차피 콜레스테롤은 간에서 만들어지니까…”라며 잘못된 식습관을 반복할 경우 위험한 심장병, 뇌졸중(뇌경색·뇌출혈)으로 발전할 수 있다.
◆불포화지방산 많은 들기름, 올리브유, 견과류…과식은 금물
포화지방산과 반대의 작용을 하는 불포화지방산이 풍부한 식품을 먹는 게 좋다. 들기름, 올리브오일은 대표적인 불포화지방산 음식이다. 혈중 콜레스테롤 개선과 염증 억제에 도움을 준다. 해외 자료에 따르면 땅콩, 호두 등 견과류는 혈관 속의 중성지방을 줄여서 혈액이 잘 순환하도록 돕는다. 세포막을 보호하고 로화를 늦추는 효과도 있다. 다만 불포화지방산 음식도 과식은 금물이다. 지방이 포함되여 살이 찔 수 있기 때문이다. 최대 한줌 정도 먹으면 혈관 청소에 도움이 된다.
외신
- 많이 본 기사
- 종합
- 스포츠
- 경제
- 사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