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지역의 봄갈이기간 주요 농작물 짚대의 과학적인 포전반환 사업을 잘하기 위하여 농업농촌부 짚대종합리용전문가지도소조, 농업농촌부 농업생태및자원보호본소는 ‘2025년 봄갈이기간 동북지역 짚대의 과학적인 포전반환 지도의견’을 발표했다.
옥수수 짚대의 포전반환을 대상하여 전문가들은 지난해 가을철에 짚대를 수확하고 그루터기를 높게 남긴 밭은 봄갈이, 파종 전에 짚대분쇄 포전반환 기계를 선택하여 짚대를 현지에서 분쇄하여 균일하게 밭에 뿌릴 것을 건의했다. 짚대의 분쇄 길이가 20센치메터 이내(20센치메터 포함), 분쇄 합격률이 90% 이상(90% 포함), 그루터기의 평균높이가 15센치메터 정도 되게 한다. 정지작업을 할 때 지역별로 상황을 봐가며 적합한 기술을 선택한다. 례를 들면 서부지역의 풍사가 많고 가문편인 고장과 중부와 동부 지역의 경작층이 비교적 얇고 봄가뭄이 쉽게 드는 언덕진 곳의 밭은 ‘포전피복반환 스트립경작’(覆盖还田条带耕作) 기술을 선택한다. 동부와 북부 지역의 온도가 낮고 강수량이 비교적 많은 고장과 토양의 재질이 끈적끈적하고 투과성이 떨어지는 밭뙈기는 분쇄혼합반환 정지기술(碎混还田整地技术)을 선택한다. 지난해 가을철에 땅이 완전히 얼기 전에 짚대를 묻고 써레질 작업을 하지 않은 지세가 평탄한 지역의 경우 밭갈이를 하여 묻는 포전반환 정지기술을 선택할 수 있다. 후기 관리 때 토양 5센치메터 깊이의 지온이 섭씨 7도로 안정되고 토양 경작층의 수분함량이 20% 정도 될 때 시기를 틀어쥐고 파종할 수 있다. 이때 파종 깊이가 3~5센치메터 되게 통과성이 강한 측면심층시비파종기로 파종하면서 비료를 주는데 줄 사이 거리가 50~80센치메터거나 40~90센치메터 되는 ‘넓고 좁은 이랑’(宽窄行) 재배거나 60~70센치메터 되는 균일한 이랑 재배를 한다.
전문가들은 ‘예방 위주의 종합적 예방퇴치’라는 식물보호 방침을 견지하고 농작물의 병충해 예방, 퇴치를 강화하여 농업 예방, 퇴치를 토대로 친환경 예방통제기술을 우선 선택하고 화학 예방, 통제에서 고능률, 저독성, 저잔류의 농약제품을 사용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벼짚의 포전반환을 대상하여 지난해 가을철과 지난 겨울철에 짚대 분쇄와 밭갈이 작업을 전개하지 않은 논에 대해서는 땅이 녹은 후 차가 논에 들어가 작업할 수 있을 때 짚대분쇄 포전반환 기계를 사용하여 분쇄작업을 할 수 있다. 이때 짚대 분쇄길이와 그루터기의 평균높이가 10센치메터 이하(10센치메터 포함) 되게 한다. 농사철을 놓치지 말아야 하는 원인으로 이런 논은 로타리(旋耕) 포전 반환 기술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정지작업을 할 때 토양이 15센치메터 이상 녹고 토양 수분함량이 30% 이하 될 때 일반적인 로타리기계를 사용하여 마른 써레질을 하여 정지할 수 있다. 이때 깊이가 12~15센치메터 되게 써레질하면서 짚대와 그루터기를 땅속에 묻어 지면에서 보이지 않게 한다. 지난해 가을철에 완전히 얼기 전에 이미 짚대분쇄, 밭갈이 등 작업을 완료한 논에 대해서는 밭갈이 포전반환 정지기술을 선택할 수 있다. 마른 정지를 할 수 있는 논에 대해서는 토양이 15센메터 정도 녹았을 때 로타리기계로 작업 깊이가 10~12센치메터 되게 마른 써레질을 한다. 마른 정지를 할 수 없는 논에 대해서는 봄철 모내기 15~20일 전에 물을 대여 논갈이로 생긴 흙덩이의 3분의 2 정도가 물에 잠기게 하고 그 흙덩이가 완전히 물에 퍼진 후 써레질하며 논을 공그는 데 작업시 물깊이를 1~3센치메터 되게 한다. 후기 관리 때 현지 토양측정 처방 결과에 근거하여 화학비료의 사용량을 확정한다. 질소비료의 밑거름 사용량을 적당히 늘일 수 있고 ‘얕은 관개─습한 관개─논말리기(浅─湿─干)’ 물절약관개기술을 실행할 수 있다.
이 밖에 전문가들은 병충해 예방, 퇴치에서 부동한 생태지역의 구체적인 병충해 발생 상황에 따라 내병성 품종을 선택하고 약제 침종을 진행하거나 교갑종자(包衣)처리, 드론 약사용 등 식물보호기술을 사용하여 종합적인 예방 퇴치를 할 수 있다고 알려주었다.
농민일보
- 많이 본 기사
- 종합
- 스포츠
- 경제
-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