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지 경제에 새로운 활력 주입
날씨가 추운 동북지역에서 빙설자원이 현지 경제에 새로운 활력을 주입하고 있다. 길림성 차간호의 얼음낚시, 료녕성에서 즐기는 눈놀이와 온천, 빙설 놀이공원의 썰매·스키 등 다양한 겨울관광 체험이 쏟아지고 있다.
밤하늘에 수놓인 화려한 꽃불놀이를 배경으로 오스트랄리아 출신 관광객 로빈 랩손은 빠르게 샤타를 눌러 거대한 얼음조각 아래서 웃고 있는 관광객들의 표정을 사진에 담았다.
“이렇게 거대한 얼음조각 건축물을 직접 보니 정말 흥분됩니다.” 그는 빙설테마파크가 매우 인상 깊다며 “이곳의 아름다움과 멋진 풍경을 영원히 잊지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
흑룡강성에 위치한 할빈 빙설대세계는 이미 지난 빙설시즌 우리 나라 소셜미디어에서 가장 인기 있는 겨울려행 핫플레이스중 하나가 되였다.
할빈시문화관광국의 한 관계자에 따르면 이번 빙설대세계 개장 후 보름 동안 할빈시를 찾은 루적 관광객 수는 전년 동기 대비 21.3% 증가했다. 지난해 방문객 수는 루적 1억 7900만명, 관광수입은 2023년보다 30% 이상 늘어난 2314억 2000만원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난해 12월부터 오는 2월까지 할빈시를 찾는 방문객 수는 전년 동기 대비 15% 확대될 것으로 내다봤다.
겨울이 되자 흑룡강성 목단강시에 있는 ‘중국설향’ 관광지도 분주해졌다. 화려한 공주·기사 복장을 하고 새하얀 설원에서 기념사진을 찍는 것은 이곳 관광지의 새로운 풍경이 되였다.
‘중국설향’ 관광지는 눈 내리는 기간이 길고 눈의 질이 좋기로 유명하다. 지난 겨울 개장한 이래로 방문객 수는 40만명을 넘어섰다. 관광지의 한 관계자는 최근 2년 동안 특색 사진촬영 인기가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며 겨울철 관광의 필수코스가 되였다고 소개했다. 이어 왕훙들이 찾은 핫플레이스 확대 등 방식을 통해 새로운 문화관광 업종을 구축해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중국관광연구원 관련 책임자는 “빙설환경에 전통과 현대, 고전과 트렌드 요소가 어우러져 빛을 발하고 있다.”며 “‘빙설자원’을 ‘뜨거운 경제’로 전환해 현지 경제·사회 번영과 발전에 동력을 주입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최근 ‘2025 빙설관광발전대회’에서 발표된 ‘중국 빙설관광 발전보고서(2025)’는 ‘2024년—2025년 빙설시즌’에 중국 빙설레저 관광객 수는 5억 2000만명, 관광수입은 6300억원을 넘을 것으로 예측했다.
해당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빙설관광시장은 전례 없는 활력을 보여주고 있다. 빙설관광은 대중화, 품질 향상, 디지털화 전환의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71.2%의 관광객이 이번 빙설시즌에 빙설 레저·관광 활동 체험을 희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계자는 또 “빙설관광과 빙설레저의 시장규모가 커지면서 소비가 확대되고 소비구조의 최적화가 이뤄지면서 빙설경제시장의 기반이 탄탄해졌다.”고 부언했다. 우리 나라는 ‘3억명 빙설스포츠 참여’라는 목표를 실현했을 뿐만 아니라 5억명, 6000억원 규모의 빙설관광시장을 형성했다고 전문가들은 분석했다.
신화사
- 많이 본 기사
- 종합
- 스포츠
- 경제
-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