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업 충실+혁신 강화’ 모식 우위
민영경제가 중국식 현대화에 새로운 활기를 불어넣으며 고품질 발전의 중요한 기반이 되고 있다.
민영경제는 현재 이미 상당한 규모를 형성하고 중요한 비률을 차지하고 있다. 관련 통계에 따르면 민영기업은 우리 나라 전체 기업의 92%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국가 하이테크 기업중 민영기업은 42만여개로 역시 92%를 넘어섰다.
다수의 민영기업은 본업에 집중하고 산업기반을 강화하며 민영경제의 고품질 발전을 뒤받침하고 있다.
60여년간 제어밸브 ‘한우물’을 파온 녕하 오충계기회사는 지난 1959년 설립된 회사로 1998년에 상장에 성공했다. 오충계기회사 수석엔지니어 왕학붕는 “상장 후 물∙전기 계량기 등 분야를 무분별하게 따라하다 보니 본업인 제어밸브 분야에서의 핵심 경쟁력이 약해지고 시장점유률도 점점 잃어갔다.”고 말했다.
회사의 마옥산 회장은 “치렬한 경쟁 속에서 잘하는 분야만이 쉽게 대체될 수 없다는 것을 알았다.”면서 “문제점을 파악한 후에는 제어밸브에 집중하기로 했다.”고 전했다.
이제 오충계기회사는 300만대 이상의 장비를 출하하고 자체 핵심기술 부족으로 외부에 의존하는 수십개의 프로젝트를 극복하며 제어밸브를 기반으로 ‘전문화·정밀화·특색화·참신화’를 갖춘 ‘강소기업’으로 성장했다.
전국공상업련합회가 발표한 ‘2024 중국 민영기업 500대 기업’에 따르면 제조업 기업이 500대 기업에서 차지하는 비률은 66.4%에 달했는데 이는 3년 련속 증가세이다.
민영기업은 본업을 지키면서도 핵심기술을 기반으로 핵심 경쟁력을 키웠다.
광주 명락장비회사의 성장사는 혁신으로 기업을 키운 발전사라 할 수 있다.
자동차 차체 총조립 시스템은 자동차 용접 생산라인의 최고 핵심단계로 여기서 문제가 발생하면 페기률과 제조비용이 늘어난다. 그래서 우리 나라 자동차 제조기업은 오래동안 해외업체에 의존해왔다.
명락장비회사는 끊임없는 기술개발과 ‘저렴한 가격’ 전략으로 자체 연구, 개발한 시스템을 출시했고 결국 북경자동차, 길리자동차 등 다수 국내 본토기업의 호평을 받았다.
이제 명락장비의 총조립 시스템은 3세대까지 업그레이드되였고 미국, 독일, 일본 등 전통 자동차 제조강국으로 수출되고 있다.
이들 민영기업의 발전 뒤에는 정부정책과 제도가 든든히 뒤받침하고 있다.
대련제일상호인덕터회사는 중국 상호인덕터(电感器) 분야의 선도기업중 하나이다. 청년인재 유치를 위해 회사는 멘토링 육성 모델을 도입해 인재 보조금제도를 시행했다. 이와 더불어 정부지원을 받아 료녕성급 기업기술쎈터와 대련시급 신뢰성 연구공정실험실을 설립해 기술인재를 유치함으로써 상호인덕터 연구개발과 보급에 집중할 수 있었다.
정부 서비스 역시 끊임없이 보완되면서 민영기업의 발전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
서곡과학기술(대련)회사의 오세걸은 “기업의 등기변경, 세무등록 등 업무처리가 관련 플랫폼을 리용하면 신청 한번으로 끝난다.”면서 “덕분에 기업은 연구개발과 제조에 더 많은 힘을 쏟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우리 나라는 지난달 <중화인민공화국 민영경제 촉진법>을 시행하면서 본업에 충실하고 실제업무를 강하게 키우는 민영기업에 법률적 보장을 제공하고 있다.
공업및정보화부 한 관계자는 서비스 보장을 계속해서 강화하고 량호한 비즈니스 환경을 조성해 많은 기업가가 본업을 고수하고 실제 업무를 강화함으로써 자주혁신을 강화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전했다.
신화사
- 많이 본 기사
- 종합
- 스포츠
- 경제
-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