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경제가 경제성장을 견인하는 새로운 엔진으로 빠르게 부상하며 1만 8000여킬로메터의 대륙 해안선을 보유한 중국식 현대화에 ‘푸른 동력’을 불어넣고 있다.
자연자원부가 발표한 ‘2024년 중국 해양경제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 나라 해양경제의 경제총량은 10조 5438억원으로 처음으로 10조원을 돌파했다. 이는 전년 대비 5.9% 증가한 수치로 전체 GDP에서 7.8%의 비률을 차지했다.
국가해양정보중심 주임 석수상은 “최근 수년간 우리 나라의 해양경제가 새로운 방향으로 긍정적인 발전추세를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올 1.4분기 해양 생산액은 2조 5000억원으로 잠정 집계되였다. 전년 동기 대비 5.7% 늘어 GDP 성장률보다 0.3%포인트 높았다.
정책적 지원이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시장활력도 꾸준히 분출되면서 국내 연해지역은 해양경제의 구도를 빠르게 구축해 나아가고 있다.
상해는 앞서 ‘상해시 해양산업 발전계획(2025—2035)(의견 수렴안)’을 발표하며 2035년까지 해양경제 종합실력이 전세계 연해 도시중 상위권으로 올라서 국제적인 현대 해양도시를 건설하겠다는 청사진을 그렸다. 구체적으로 선박과 해양 프로젝트 장비산업, 항운 서비스업, 해양 관광업을 3대 주도산업으로, 해양 신에너지산업, 해양 신소재산업, 해양 전자정보산업, 해양 의약품∙바이오제품산업, 해수 담수 및 종합리용산업 등 5대 신흥산업을 육성하고 미래 심원해 자원 관련 산업과 심원해 융합 혁신산업 등 해양 미래산업을 함께 발굴해나갈 방침이다.
상해외에 강소, 절강, 광동, 산동 등지도 다양한 방식의 해양경제 발전안을 내놓았다.
그중 절강성은 지난해 전국 최초로 성급 해양경제발전청을 설립했다. 절강성은 지역실정에 맞춰 해양분야의 신질 생산력을 발전시키고 제반 지역의 해양 생산액이 지역 GDP 성장률보다 1%포인트 높아지도록 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또한 해양경제분야에서 2200억원 이상의 프로젝트 투자를 실현할 방침이다.
얼마 전 열린 광동성 해양경제사업회의에서는 해양 신에너지, 해양 프로젝트 장비, 해양 바이오의약 등 해양 신흥산업과 미래산업을 적극적으로 육성·확대하는 것을 제시했다.
산동성 역시 현대 해양경제 발전의 고지 조성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산동성은 륙지와 바다를 통합 련결하고 선도형 현대 해양도시 건설에 속도를 내겠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위해, 일조 등 전국 해양경제발전 시범구를 건설하고 산동 특색의 해양 도시군을 조성하며 신구 동력 전환 종합시범구, 자유무역시험구, 상해협력기구시범구 등 전략 플랫폼도 강화할 방침이다.
신화사
- 많이 본 기사
- 종합
- 스포츠
- 경제
-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