찌는 듯한 무더위 속에서 하나 또 하나의 ‘공유가옥’이 연길시 일부 가두와 사회구역에서 생겨나면서 주민들의 ‘삶의 쉼터’, 관광객들의 ‘도시 풍경’, 야외작업 일군들의 ‘대피처’로 되고 있다. 이 10여평방메터에 불과한 공간은 도시관리의 큰 지혜를 담고 있으며 인간과 인간, 인간과 도시를 련결하는 따뜻한 련결고리로 되였다.
북산가두 단산사회구역은 자택양로봉사쎈터에 의지하여 공유공간을 구축했다. 이 ‘4+N’ 기능구역(다기능청, 민정의사청, 건강옥, 문체활동실)은 우산꽂이, 장애인기구 등 설비를 갖추고 있어 주민들이 편리하게 충전, 독서, 식사 등 다양한 서비스를 즐길 수 있다. 단홍사회구역 ‘공유가옥’은 편민과 야외작업 일군의 요구에 초점을 맞춰 휴식할 수 있는 편안한 책상과 의자는 물론 물을 마시고 밥을 덥힐 수 있는 정수기, 전자레인지를 마련하고 전원 콘센트를 충족하게 설치했으며 비상 약상자, 도구 우산, 책, 신문 잡지를 모두 갖추고 있어 택배원, 환경미화원 등 이 바쁜 일상 속에서도 ‘집’의 따뜻함을 느낄 수 있도록 했다. 단광사회구역 ‘공유가옥’은 ‘건신헬스’를 특점으로 하면서 물업회사가 장소를 제공하고 기반시설을 유지, 보수하는 방식으로 스포츠용품, 운동시설, 의약상자 등 공유자재를 갖추었다. 이런 조치는 주민들이 식사 후 운동하거나 물업관리일군들이 순찰하는 과정에서 휴식을 취할 때 운동의 희열을 느끼면서 서로 교류할 수 있게 했고 더불어 공간은 사회구역 활력을 결집하고 이웃과의 거리를 좁히는 ‘건강의 련결고리’로 되였다. 단청사회구역의 새로 업그레이드된 ‘공유가옥’은 사랑이 샘솟는 플랫폼이다. 여기에는 로당원들이 보낸 새로운 도구상자와 비옷, 열성적인 주민이 기부한 배구, 바드민톤이 있다… 이런 ‘공유가옥’들은 무료 휴식, 식수, 충전, 화장실 등 기본 서비스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문체 활동, 건강검진, 사랑의 무료 진찰 등 특색활동을 확장하여 ‘이웃 상조역’, ‘공회역’, ‘주택양로봉사중심’ 등 다양한 형태로 사회구역의 따스함을 더하고 이웃의 우정을 결집하는 중요한 련결고리로 되고 있다.
“예전에는 ‘공유’가 류행어라고만 생각했는데 지금은 그것이 우리의 삶이라는 것을 알게 되였다.” 단홍사회구역 ‘공유가옥’에서 식사를 하던 한 환경미화원은 이같이 말했다.
공원가두 ‘공유가옥’은 이 같은 소속감을 관광객들에게로 확대했다. 이 가옥은 연길의 왕훙탄막벽 근처에 설치돼있는데 전체적으로 현대적이고 심플한 스타일로 건설되였고 흰색 외관에 목재 장식이 어우러져 린접한 인민공원 환경과 완벽하게 조화를 이루고 있다. 그 안에 들어서면 깔끔하고 밝은 공간 배치와 독특한 라이트박스 배경 벽이 한눈에 들어오며 에어컨 시스템이 지속적으로 시원한 공기를 공급하여 순식간에 더위가 가셔진다. 안에는 좌석, 응급약품, 무료식수, 충전장비, 짐보관 등 기본적인 봉사시설이 갖추어져있을 뿐만 아니라 연길관광 가이드가 준비되여있고 관광객을 위해 관광상담 등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원봉사자들도 있다. 현대적이고 심플한 디자인과 인성화 서비스로 이곳은 관광객들로 하여금 연길의 열정을 느끼게 할 뿐만 아니라 관광객들이 앞다투어 찾아오는 필수 관광지로 되였다.
“밖은 섭씨 35도에 달하는 고온날씨인데 이곳에 들어와서 시원한 에어컨 바람을 쏘이면서 물 한잔 마시고 쉴 수 있어 그야말로 편안하다.” 북경에서 온 관광객은 이같이 말하면서 엄지손가락을 치켜세웠다. 또 한 관광객은 알레르기로 인해 약방 위치를 급히 물었는데 상황을 파악한 자원봉사자가 즉시 구체적인 알레르기 원인에 따라 구급상자에 있는 약을 복용하게 한 후 가장 가까운 약방으로 안내했다. 관광객은 “도시의 ‘응접실’과도 같은 이 가옥은 물리적 공간의 의미를 넘어 도시의 세밀화 관리와 인문적 배려를 구현하는 ‘따뜻한 좌표’로 되였다.”고 말했다.
갈위 기자
- 많이 본 기사
- 종합
- 스포츠
- 경제
-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