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을 사취하기 위한 또 하나의 새로운 사기수법이 나왔다. 최근 북경시 대흥구의 한 은행은 위조된 은행카드를 리용한 사기사건의 단서를 경찰측에 제출했다. 범죄용의자는 ‘양로보조금 수령’ 등을 리유로 가짜 은행카드를 사용하여 로인을 상대로 사기를 저질렀다.
상대방은 로인에게 국가가 최신정책을 발표하여 로인들에게 ‘양로보조금 전용카드’를 발급받으면 큰 금액의 보조금을 받을 수 있지만 이 카드를 받으려면 먼저 수수료를 내야 한다는 것이였다.
이 기간 상대방은 APP을 통해 로인에게 카드내 ‘400여만원의 잔액 및 ‘금괴, 에어컨’ 등의 사은품’도 보여주었고 이 돈은 여러 은행에서 모두 찾을 수 있다고 말했다. APP의 구좌 잔액을 본 로인은 보조금 수령에 대해 굳게 믿었고 카드를 발급받은 후 즉시 은행을 찾아간 것이다.
북경시공안국 대흥분국 형사수사대 경찰 설국침은 빈곤층구제 명목으로 사기를 저지르는 경우 피해군체는 일반적으로 50세 이상의 중로년 군체이다. 주요 수법은 피해자가 온라인이나 오프라인에서 택배문서를 받게 하고 그 우에 특별 빈곤층구제지원금 수령과 같은 통지를 적어두며 그 우에는 국가 재정부서나 농촌진흥국의 직인이 있어 신뢰성을 더하는 것이다.
이후 사기범은 사이트 링크를 통해 당사자를 단체채팅방에 초대하고 채팅방에서는 누군가가 자신이 이미 빈곤층구제지원금을 받았다는 정보를 계속 공유한다. 당사자는 이러한 소식을 접한 후 경계를 더욱 낮추게 된다.
설국침은 피해자는 이로 인해 고객서비스의 안내에 따라 조작을 진행한다. 이때 고객서비스는 피해자를 지도하거나 휴대폰번호와 은행카드번호를 포함한 개인정보를 요구하며 그리고 신분확인이 필요할 때만 수령할 수 있다고 말한다.
이러한 개인정보를 몰래 수집하는 것은 이후 더 심각한 사기나 기타 불법활동을 실행하는 데 조건을 마련하는 것이다. 경찰은 최근 발생한 위조우편 및 가짜 은행카드 사기가 이러한 사기의 추가적인 격화라고 경고했다. 카드 발급을 리유로 당사자의 개인정보와 카드수수료, 우편료금을 사취하는 것외에도 일부 사기범들은 활성화 수수료를 명목으로 당사자에게 거액의 선불이체를 시키기도 한다.
직불카드이자 저축카드라고 주장하고 온라인으로 카드를 발급하여 집으로 배송할 때 이미 거액의 보조금이 입금되여있다고 말하는 것은 모두 사기이다. 동시에 정규적인 은행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전에 고객에게 비용을 요구하지 않으므로 낯선 구좌로 절대 송금하지 말아야 한다. 인민넷
- 많이 본 기사
- 종합
- 스포츠
- 경제
-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