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는 호흡기 감염 후 비강분비물 증가, 비강점막 부종 등으로 인해 코가 불편하기 쉽다.
일반적인 호흡기감염에는 급성감염성비염 또는 인두염, 급성편도선염, 급성후두염, 급성후두기관지염 등이 있으며 코나 인두의 일반적인 증상에는 코막힘, 코물, 재채기가 있다.
◆아이가 코물이 많고 끈적끈적하다면 어떻게 처리해야 할가?
호흡기감염의 초기단계에서 어린이 코의 주요 증상은 재채기, 코막힘 및 맑은 코물이다.
아이가 코물이 너무 많고 끈적거려서 비인두로 역류하면 인두를 자극하여 기침을 유발할 수 있다. 이때 부모는 생리식염수를 아이의 비강에 뿌려 끈적끈적한 코물을 희석시킨 후 아이가 가볍게 코를 풀게 하거나 코물흡입기를 사용해 코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도와줘야 한다.
호흡기감염 중기에는 아이의 코물이 황색을 띠고 끈적끈적해지며 3~7일 지속되면 점차 흰색의 끈적한 코물로 변한다. 그러나 황색 코물이 10일 이상 지속되거나 심지어 록색 코물까지 나타날 경우 일부 어린이는 머리가 아프거나 미열이 장기간 지속될 수 있으므로 급성축농증 여부에 경각심을 높여 가능한 한 빨리 진료를 받아야 한다.
◆어떻게 코를 풀어야 맞을가?
첫째, 상체를 앞으로 기울이는 자세를 취하면 비강내 분비물 배출에 도움이 된다.
둘째, 먼저 손가락으로 한쪽 코구멍을 누른 후 반대쪽 코물을 푼다. 량쪽 코를 동시에 푸는 것은 권장하지 않는데 코 안의 기압을 증가시키기 쉽고 어린이의 중이염 발생 확률을 증가시킨다.
셋째, 코를 풀 때 너무 세게 힘을 주면 안된다.
◆아이가 잘 때 코가 막힌다면 어떻게 완화시켜야 할가?
아이가 감기에 걸리면 코막힘증상이 나타나기 쉽고 잠을 잘 때 불편감이 더 심할 수 있다.
한편으로 어린이의 비강이 상대적으로 좁은 데다 점막까지 부어올라 비강 통기에 미치는 영향이 더 뚜렷하고 다른 한편으로 비강에 점성분비물이 막혀 배출이 쉽지 않다.
부모는 의사의 지시에 따라 아이의 증상을 완화시키기 위해 코호르몬 및 비강충혈제거약을 사용할 수 있다. 비강충혈제거약을 사용할 때는 련속 7일 이상 투여하지 말아야 한다. 또한 비강세척을 통해 아이의 비강분비물을 청소하면 아이의 코막힘증상을 완화시키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 많이 본 기사
- 종합
- 스포츠
- 경제
-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