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장성 주택 확대
올 들어 각지의 부동산 정책이 조정·최적화되고 효과가 나타나면서 상반기 부동산시장이 반등세를 이어갔다.
특히 올 들어 1선도시의 신규 부동산시장이 활기를 띠고 있다. 관련 통계에 따르면 올 상반기 상해에서 판매중인 프로젝트의 일평균 거래 규모는 약 1만평방메터에 달한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8% 늘어난 수치이다. 북경 신규 상품주택의 온라인 계약은 11.9% 증가한 2만 900개를 기록했다. 이 밖에 심수, 광주의 신규 주택 거래량은 각기 41%, 17% 증가한 2만 1800개, 3만 2861개로 조사되였다. 특히 광주의 경우 6월 거래 규모가 올 들어 최고치를 기록했다.
기존의 주택시장도 회복되고 있다. “이달 들어 주말 평균 기존 주택거래량은 35개 정도 된다.” 북경의 한 분양사무소 관계자의 말이다.
사천중원연구원의 데이터에 따르면 상반기 성도시의 기존 주택거래량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9.8% 확대되였다. 이에 발맞춰 성도시는 최근 주택판매 제한을 점차적으로 페지하고 개인 주택공적금대출 최저 선불금 비률을 20%로 조정하는 등 17개 부동산 신규 정책을 거듭 내놓았다.
수급 균형을 맞추기 위한 다양한 조치 역시 부동산시장에 활기를 불어넣고 있다.
상반기 광동성에서 신규 모집하거나 건설한 각종 보장성 주택은 10만 3000개에 달했다. 북경의 경우 보장성 임대주택 2만 7000개 건설을 확보하고 총 5만 4000개의 각종 보장성 주택을 완공했다. 이는 년간 목표를 54%, 67% 달성한 셈이다. 성도에서는 1차 보장성 주택중 7개 프로젝트가 진척중으로 7000개 이상의 주택이 공급될 예정이다.
우리 나라는 기본적인 주택 수요 뿐만 아니라 주택의 품질·업그레이드를 적극 추진하면서 ‘좋은 주택’ 공급을 늘이고 있다.
주택및도시농촌건설부가 ‘좋은 주택’ 건설 경험 및 방법(1차)을 발표하고 산동, 산서, 복건, 북경, 호북 등지에서 관련 부대정책을 내놓는 등 정책적으로 ‘좋은 주택’ 건설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
이와 더불어 상품주택 재고를 소화하기 위한 다양한 조치가 속속 나왔다. 하문시는 ‘도시 속 농촌 개조’ 현금보상 방식을 통해 주택 재고를 줄였고 정주시는 ‘이구환신’ 정책을 통해 기존 주택의 거래를 촉진했다. 덕분에 지난달말 전국의 미판매 상품주택 면적은 전달보다 479만평방메터 감소하면서 4개월 련속 하락세를 이어갔다.
신화사
- 많이 본 기사
- 종합
- 스포츠
- 경제
-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