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나라의 기반시설 건설 투자 증가률이 하반기 들어 상승할 것으로 관측되였다. 다양한 프로젝트, 특별채권 등 자금발행 가속화 등 유리한 조건이 영향을 준 것으로 평가된다.
락찰은 프로젝트 시행의 ‘첫 단계’이며 프로젝트 락찰금액은 투자열기를 관찰하는 선도 지표로도 통한다. 국가정보쎈터의 입찰·락찰 데이터 분석에 따르면 대상 시행은 빠른 속도를 유지하고 있으며 1월—7월 대상의 루적 락찰금액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1.9% 늘었다.
국가발전및개혁위원회 빅데이터발전부 빅데이터분석처 처장 양도령은 “특히 경제대성이 중점대상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면서 “지난달에는 강소·광동·절강·사천·산동 등 성의 대상 락찰금액이 전국의 약 40%를 차지하여 투자 ‘주력군’ 역할을 했다.”고 설명했다.
건설공사 강도의 경우 국가정보쎈터의 데이터 기준 7월 공사기계 가동률이 전월 대비 0.7%포인트 상승했다. 콩크리트, 인양, 굴착, 말뚝기초공사, 로면 등 각종 설비의 가동률이 전월보다 각기 1.2%포인트, 1.4%포인트, 0.4%포인트, 1.8%포인트, 1.5%포인트 올랐다. 도로건설 상황을 반영하는 석유 아스팔트 설비 가동률도 4개월 련속 전월, 전년 동기 대비 증가했다.
거시 데이터를 보면 올 들어 기반시설 투자가 안정적으로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상반기 기반시설 투자는 지난해 동기보다 4.6% 늘었는데 이는 전체 투자보다 1.8%포인트 높은 증가률을 기록하며 전체 투자를 1%포인트 끌어올렸다.
전문가들은 하반기에 기반시설 투자 증가률이 더 높아질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기반시설 프로젝트 투자를 촉진하는 중요한 자금원천으로 통하는 신규 특별채권도 증가세를 보였다.
우리 나라의 기업 리스크 통제∙예보 플랫폼 기업인 예경통에 따르면 7월 신규 특별채권 발행액이 또다시 최고치를 갱신하며 전년 동기 대비 약 120% 확대되였다. 자금은 토지비축, 시정 및 산업단지 기반시설, 농림·수자원, 교통시설 등 분야에 사용되고 있다.
신화사
- 많이 본 기사
- 종합
- 스포츠
- 경제
-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