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비 교체에 1조원 이상 투입
우리 나라의 철강산업이 고급화·스마트화·친환경화 전환 등의 혁신을 통한 고품질 발전을 모색하고 있다.
최근 상해에서 열린 ‘제14회 중국·국제철강대회’에 따르면 지난 10년간 우리 나라 철강산업은 1조 2000억원을 투입해 ‘생산력 교체’를 추진했다. 로후 설비를 최신 설비로 교체함으로써 3억톤에 가까운 생산력을 재배치하고 1조원 이상을 연구개발에 투입해 철강제품의 고급화를 추진해왔다.
올해 공업및정보화부는 ‘철강산업 규범조건(2025년)’을 발표하며 과학기술 혁신능력 육성 및 강화, 과학연구기관 설립, R&D 투자확대, 기업의 공정기술 및 제품혁신능력의 지속적인 제고, 기준 제정·수정 및 지식재산권 보호에 주력, 기업의 브랜드건설 강화, 제조업 종목별 챔피언 기업 적극 육성 등을 제시했다.
최근 철강산업의 스마트화 전환도 빠르게 추진되고 있다. 인공지능, 디지털, 산업인터넷 등 차세대 정보기술이 철강제조분야와 심층적으로 융합되면서 디지털·스마트화 전환이 제반 산업사슬로 확장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하강 디지털기술회사가 독자적으로 연구, 개발한 탄소중립 디지털화 플랫폼은 ‘탄소고봉치 및 탄소중립’ 목표에 포커스를 맞춘 디지털기술과 친환경·저탄소 제조 전반 과정을 아우르는 플랫폼으로 탄소 관련 기능이 업계에서 가장 포괄적이라고 평가받는 디지털 플랫폼이다.”
하강디지털기술회사 관계자의 소개에 따르면 한 철강기업은 플랫폼의 디지털 데이터 수집기술을 통해 40여개 프로젝트에서 총 510만개의 탄소 데이터를 수집함으로써 75%가 넘는 자동화 수집률을 기록했다. 또한 표준화된 탄소계산 모델을 통해서 제품의 탄소발자국 보고서, 기업탄소 진단보고서, 유럽련합의 탄소국경조정제도 보고서 등 총 60여개 보고서를 산출해 능률이 83% 향상된 것으로 조사되였다.
이와 더불어 우리 나라 철강산업은 기술혁신에 힘입어 전반 산업사슬의 친환경 전환에 속도를 올리고 있다. ‘탄소고봉치 및 탄소중립’ 목표를 중심으로 초저배출 개조, 저탄소 기술 연구개발, 디지털 력량 강화를 통해 전반 생산과정을 아우르는 친환경 제조 체계를 구축하기 시작했다.
중국강철공업협회 집행회장 하문파는 “지난 6월 기준 전국에서 이미 5억 9800만톤의 철강 생산설비가 전반 과정 초저배출 개조공사를 마무리했다.”면서 “년말에는 개조률이 80%에 달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를 위해 업계의 추가투입액은 3000억원 이상”이라고 덧붙였다.
철강업계에서도 저탄소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중국야금과학공업그룹은 수소 에너지를 중심으로 한 ‘제조-저장-부하-사용’ 일체화의 산업사슬 솔루션을 내놓으며 친환경·저탄소 전환에 힘을 보태고 있다. 중국철강연구과학기술그룹회사는 고능률·저비용의 전기로 제강, 친환경·스마트화 생산 등 핵심기술을 개발함으로써 제강기술의 비약적 발전을 촉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신화사
- 많이 본 기사
- 종합
- 스포츠
- 경제
-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