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무역 리스크와 도전이 확연히 증가하는 상황에도 불구하고 올 들어 우리 나라의 대외무역이 안정적인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상무부 부대변인 하영전은 최근 정례브리핑에서 이같이 평가하면서 올 들어 전 7개월 수출입 증가률이 3.5%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앞서 세관총서의 통계에 따르면 1월—7월 우리 나라의 화물무역 수출입 총액은 25조 7000억원에 달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5% 늘었다. 그중 7월 한달 수출입 총액은 6.7% 증가한 3조 9100억원으로 전달보다 1.5%포인트 높은 증가률을 기록하며 올해 최고치를 갱신했다.
하영전은 우리 나라 대외무역이 이 같은 성과를 거둔 배경으로 3가지를 꼽았다.
우선 강력한 정책적 뒤받침이 있었다. 지난해 4.4분기 이후 우리 나라는 새로운 대외무역 흐름 육성, 공공서비스 강화, 대외무역 기업지원 등을 중심으로 대외무역 안정정책을 잇달아 내놓았다. 특히 금융부문의 경우 1월—7월 중국수출신용보험회사의 단기 보험 인수액은 5735억딸라에 달해 전년 동기 대비 14.7% 증가한 규모를 기록했다. 중국수출입은행이 신규 지급한 대외무역분야의 대출액은 7000억원을 돌파했다.
다음으로는 다원화 협력을 들 수 있다. 1월—7월 우리 나라의 대 신흥·기타 시장 수출입은 5% 늘면서 전체 수출입의 65.5%를 차지했는데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0.9%포인트 확대된 규모이다. 그중 대 아세안·아프리카 수출입 규모는 각기 9.4%, 17.2%의 높은 증가률을 기록했다. 대 ‘일대일로’ 공동건설 국가 수출입은 5.5% 늘면서 51.7%의 비률을 차지했다.
마지막으로는 새로운 흐름의 방출이다. 1월—7월 우리 나라의 전기·전자 제품 수출이 9.3% 늘면서 전체 수출의 60%를 차지했는데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1%포인트 확대된 규모이다. 스마트 홈퍼니싱, 전기차, 공업로보트, 선박 등 하이테크, 고부가가치 제품의 수출 역시 비교적 높은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다. 대외무역 기업의 ‘진영’도 확대되였다. 1월—7월 수출입 실적을 가진 대외무역 기업은 65만 4000개에 달했고 그중 민영기업이 90%에 육박하는 것으로 조사되였다.
하영전은 “그러나 현재 글로벌 경제무역 발전이 엄청난 불확실성에 직면해 있다.”고 지적하면서 “우리 나라는 더 많은 대외무역 안정 조치에 힘을 싣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달 30일에 열린 중앙정치국 회의는 ‘높은 수준의 대외개방 확대, 대외무역·외자 기반 안정화’를 강조했다. 특히 융자지원 강화, 수출 세금환급 정책 최적화, 내수·대외무역 일체화 발전 등 구체적 조치를 제시함으로써 타격이 비교적 큰 대외무역 기업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현재 국내 여러 지방도 현지 산업특색과 대외무역 기업의 구체적인 수요에 맞춰 상응한 조치를 내놓고 있다.
북경세관은 여장종합구에서 대외무역 새 업종 육성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린근에 위치한 북경경제기술개발구 중점 산업군체의 특징을 기반으로 다원화된 ‘보세+’ 기능을 업그레이드하는 한편 미래산업발전 트렌드와 기업의 실제수요를 반영해 보세 유지·보수, 보세 교육 등 대외무역 새 업종의 발전을 적극 지원하고 있다.
한편 강소성에 위치한 금강세관은 통상구의 비즈니스 환경을 꾸준히 최적화할 계획이라고 밝힌 가운데 일전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 정책 홍보, 원산지증명서 자체 인쇄 등 기업 혜택조치를 적극 추진하고 기업들이 해외 전시회에 참가하도록 지원해 글로벌 경쟁력을 일층 높이는 데 주력하고 있다.
신화사
- 많이 본 기사
- 종합
- 스포츠
- 경제
-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