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곳곳에서 학교내 휴대전화 사용을 금지하거나 줄이는 방안을 시행, 자유권을 제한한다는 일부 비판 속에서도 휴대폰 사용 금지를 주장하는 나라가 계속 늘어나고 있어 주목된다.
그렇다면 유럽이 학교에 머무는 학생에게 휴대전화 사용을 줄이도록 하는 방침을 속속 시행하는 리유는 무엇일가.
화란은 지난 1월부터 대부분 지역 중학교 교실에서 휴대전화, 태블릿 컴퓨터, 스마트워치 사용을 금지하도록 권고했다.
화란 라드바우드대학 연구진은 휴대전화 사용 금지에 동참한 두 학교를 조사한 결과 학생 5분의 1이 주의력이 산만해지는 사례가 줄었다고 보고했다. 아울러 학생 사이 사교활동 빈도가 늘어나고 그 질이 향상되였고 학생이 더 많은 시간을 현실 세계에서 보내면서 온라인 괴롭힘이 줄어든 것으로 집계되였다. 학생 5명중 2명은 휴대전화를 사용하지 않게 돼 휴식시간을 더 즐길 수 있었다고 응답했다.
연구진은 “인지기능 면에서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일로 판단한다.”고 분석했다. 다만 재학생 8명중 3명(37%)은 금지령으로 인해 휴대전화가 그리웠다고 응답하기도 했다. 한 학생은 기분이 좋지 않을 때도 사교활동을 해야만 해서 부담이 됐다고 털어놨다.
4년 전부터 휴대전화 사용을 금지해 온 화란 칼베인학교 사례에서도 긍정적인 평가가 이어졌다. 칼베인학교 관계자는 “휴대전화 사용 금지령이 긍정적인 효과를 낸다는 데에는 의심할 여지가 없다.”며 “처음 반발하는 의견도 있었지만 변화를 경험한 뒤 그 같은 주장은 모두 사라졌다”고 설명했다.
12세—18세가 다니는 이 학교도 처음에는 재학생, 학부모, 교원 5분의 1은 휴대전화 사용을 금지하는 정책에 반대했다. 칼베인학교는 5분의 4의 동의를 바탕으로 휴대전화 사용 금지 조치를 밀고나갔다. 일과 시간 동안 학생이 휴대전화를 보느라 체육활동과 사교활동에 너무 소홀한 모습이 자주 목격되였기 때문이다. 조치 시행 뒤 교실 풍경이 변화하면서 결과적으로 재학생, 학부모, 교원으로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이 같은 움직임은 프랑스, 벨지끄, 화란, 웽그리아, 이딸리아, 스위스 등 유럽 곳곳에서 벌어지고 있다. 프랑스는 중학교 200여곳에서 금지 조치를 시험하고 있고 벨지끄에서는 프랑스어권 소학교와 중학교에 교내 휴대전화 사용을 금지하기로 했다.
웽그리아에서는 일과 시작 전 학생이 가진 휴대전화를 모두 수거하고 이딸리아와 스위스는 휴대전화 소지는 허용하지만 교실에서 사용하지 못하도록 했다.
외신
- 많이 본 기사
- 종합
- 스포츠
- 경제
-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