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성의 위성에 생명체가 살 수 있는지 탐구할 미국 항공우주국의 무인 탐사선 ‘유로파 클리퍼’가 30억킬로메터에 가까운 대장정을 시작했다. 지구 이외의 행성에도 생명체가 살기에 적합한 환경이 갖춰졌는지 들여다보려는 시도이다.
과학자들은 유로파에서 생명의 근원인 유기물의 존재가 확인되면 물을 가진 수많은 행성에도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이 열린다고 설명한다. 인류의 외계 행성 이주도 한발 더 가까워진다.
유로파 클리퍼는 14일 낮 12시 6분(현지시간) 미국 플로리다 케네디우주쎈터에서 스페이스X의 팰컨 헤비 로케트에 실려 발사되였다.
약 1시간 뒤 로케트 2단부가 연소해 태양 궤도로 진입했다. 5분쯤 지나 우주선이 선명하게 신호를 보내자 항공우주국 관제실에서는 박수와 환호가 터져나왔다. 3시간 뒤에는 전력을 얻기 위한 태양 전지판도 모두 펼쳤다.
유로파 클리퍼는 높이 5메터, 길이 30.5메터, 무게 5700킬로그람에 달한다. 항공우주국이 행성 탐사 임무를 위해 개발한 우주선 가운데 가장 크다. 52억딸라라는 거액이 투입되였다.
지구와 목성은 7억 7249만킬로메터가량 떨어져있다. 지구와 태양 사이 거리(약 1억 5000만킬로메터)의 5배가 넘는다. 유로파 클리퍼는 목성까지 직진하지 않고 지구와 화성 주위를 돌아 두 행성의 중력으로 가속 에너지를 얻어 날아가는 스윙바이 항법을 활용한다.
그래서 5년 반 동안 29억킬로메터를 이동해 2030년 4월 목성 궤도로 진입하게 된다. 2034년에는 유로파 표면 우 25킬로메터 고도까지 근접 비행해 행성의 환경을 자세히 조사한다.
이 탐사선의 핵심 임무는 목성의 위성 유로파가 생명체가 살기 적합한 조건을 갖췄는지 살피는 것이다. 이를 위해 자력계와 중력 측정기, 열 측정기, 고해상도 카메라, 분광기, 레이다 등 다양한 장비를 탑재했다.
과학자들은 목성의 거대한 중력 에너지 덕분에 유로파의 얼음층 일부가 녹아 깊고 넓은 바다가 만들어져있다고 확신한다. 액체 상태의 물이 풍부하다는 것은 고등생명체까지는 아니여도 미생물이나 단백질 합성체 등 유기물이 존재할 가능성은 충분하다는 의미이다. 유로파 클리퍼는 이 위성에 유기물이 있는지 확인하고 바다가 얼지 않도록 해주는 에너지원의 실체도 찾을 계획이라고 항공우주국은 설명했다.
이번 프로젝트 담당자 커트 니버는 영국 매체 가디언에 “이것은 수십억년 전 생명체의 흔적을 찾으려는 것이 아니다. 바로 지금 인류 등 생명체가 살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확인하려는 취지”라고 말했다.
외신
- 많이 본 기사
- 종합
- 스포츠
- 경제
-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