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한 병원에서 뇌사 판정을 받은 환자가 장기 적출 수술 직전 되살아났다.
36세 남성 토마스 TJ 후버 2세는 2021년 10월 약물 과다 복용으로 미국 모 병원에 이송되였고 뇌사 판정을 받았다.
이후 장기 기증 절차가 진행되였다. 당시 근무한 직원들의 증언에 따르면 외과의사들이 그의 신체 부위를 적출하기 위해 준비하는 동안 후버는 공포에 질린 채 수술실대 우에서 몸부림치는 등 살아있는 것처럼 보였다.
당시 현장에 있었던 전직 직원 니콜레타 마틴과 나타샤 밀러는 “외과의사들이 그의 장기를 적출할 준비를 하는 동안 후버는 이리저리 움직이기 시작했고 눈에 띄게 울고 있었다.”라고 주장했다.
후버가 주위를 돌아보며 울기 시작한 후에야 후버의 이식 수술은 중단되였고 최종적으로 취소되였다. 그러나 이 사건은 병원측이 생존 상태에서 장기적출을 하려 했던 게 아니냐는 의혹에 휩싸였다. 또 장기 적출을 진행하지 않기로 결정한 뒤 장기기증 상대 측이 병원과의 통화에서 “어차피 이 수술을 진행할 것이다. 다른 의사를 찾아보라.”고 밝힌 사실도 알려졌다.
장기기증 합작 관계자는 “그 누구도 살아있는 환자의 장기를 적출하라는 압력을 받은 적이 없다.”며 “살아있는 환자의 장기를 회수하지 않는다.”고 선을 그었다.
병원측도 “우리는 환자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한다.”며 “장기 기증에 대한 환자들의 의사(意愿)가 지켜질 수 있도록 환자와 그 가족들과 긴밀히 협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사건이 커지자 미국 켄터키주 법무장관과 미국 보건의료자원서비스청은 사건 진상조사에 나섰다.
하버드대학 의과대학 생명륜리쎈터 로버트 트루그 박사는 “끔찍하면서도 신중한 추적이 필요한 문제”라며 “제대로 된 진상 규명을 통해 다시는 이런 일이 재발하지 않도록 예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외신
- 많이 본 기사
- 종합
- 스포츠
- 경제
-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