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에서 학살과 식인 행위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청동기시대 유골이 무더기로 발견되였다.
영국 옥스포드대학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중순 고고학 학술지 《앤티쿼티》에는 옥스포드대학 릭 슐팅 교수팀이 영국 남서부 초기 청동기 유적에서 발견된 뼈쪼각들을 분석한 결과가 게재되였다.
결과에 따르면 연구팀은 발견된 유골의 주인들이 한곳에 버려지기 전 살해되였고 이후 시체가 해체되여 먹힌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이는 영국 선사시대 유적에서 발견된 가장 대규모의 사람간 폭력 사례로 도살과 식인의 흔적은 적을 비인간화하거나 배척화하는 수단이였을 가능성이 높다는 설명이다.
해당 연구에서 연구팀은 1970년대 영국 남서부 차터하우스 워런의 초기 청동기 유적지에서 발견된 3000개가 넘는 사람 뼈쪼각을 분석했다. 깊이 15메터 갱도에서 발견된 이 뼈들은 최소 37명의 것으로 추정되였으며 남녀로소를 가리지 않았다. 실제로는 더 많을 것이라는 추정도 나왔다.
두개골에서는 둔기에 의한 외상 흔적이 발견되였다. 다른 뼈들에서는 수많은 절단 흔적과 사망 당시 생긴 것으로 보이는 골절도 확인되였다.
연구팀은 뼈에는 싸움 흔적이 없는 점으로 미뤄 뼈에 있는 상처와 절단 흔적 등은 이들이 기습 공격을 받아 학살되였고 이후 도살돼 부분적으로 먹힌 것을 시사한다고 설명했다.
다만 연구팀은 당대 사람들이 식량 확보를 위해 유골의 주인들을 죽였을 가능성은 낮다고 봤다. 동일한 유적지에서는 사람 뼈와 함께 다량의 소 뼈가 발견되였는데 이는 당대 인류에게 식인 풍습에 의존할 필요 없이 충분한 식량이 있었음을 의미한다는 리유에서이다.
대신 연구팀은 당시 영국에서는 이토록 극단적인 형태의 폭력으로 이어질 만한 자원경쟁이나 기후변화 등의 요인은 발견되지 않았다며 절도나 모욕 같은 사회적 사건에서 비롯된 갈등이 폭력으로 이어졌을 수 있다고 추정했다.
결국 단순히 식량이 부족해서가 아닌, 사회적 갈등 등으로 인해 이들을 학살한 다음 비인간화하고 배척화하는 수단으로 도살, 식인했다는 추정이다.
슐팅 교수는 “이 연구결과는 선사시대 사람들도 잔혹한 행위를 했다는 점을 극명하게 상기시켜주는 동시에 인간 행동의 어두운 면을 보여준다.”며 “이런 일이 일회성으로 끝났을 가능성이 작기 때문에 이 이야기를 전하는 게 더욱 중요하다.”고 전했다.
외신
- 많이 본 기사
- 종합
- 스포츠
- 경제
-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