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 기업들은 채용 면접에서 지원자가 자신이 받은 커피잔을 직접 치우는지를 보고 태도를 판단해 채용 여부를 결정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6일(현지시간) 미국 경제 전문지 《포천》은 회계 플랫폼 제노의 전 전무리사이자 호텔 커머스 플랫폼 사이트마인더의 현 대표인 트렌트 이네스가 말한 독특한 면접 테스트인 ‘커피잔 테스트’에 대해 소개했다.
이 테스트는 명칭과 달리 커피와는 큰 관련이 없다. 커피 대신 물이나 차를 마셔도 테스트를 할 수 있다.
우선 이네스는 항상 면접 지원자들을 부엌으로 데려가 음료를 주고 면접 장소로 잔을 가져가게 했다. 이후 면접이 끝날 때 지원자가 빈 컵을 다시 부엌으로 가져오는지 확인했다.
직무에 적합한 능력을 갖추고 있더라도 면접 장소에 다 마신 커피잔을 두고 온다면 채용 담당자의 련락을 받지 못할 수 있다.
이네스는 커피잔을 두고 가는 행동이 지원자가 회사 문화와 맞지 않다는 적신호라며 “기술을 개발하고 지식과 경험을 쌓을 수는 있지만, 결국 중요한 것은 태도”라고 말했다.
이어 “우리가 자주 이야기하는 태도는 ‘커피잔을 씻는다’는 개념이다.”라고 덧붙였다.
사용한 컵이나 머그잔, 유리잔을 부엌으로 가져가는 것은 팀원으로서 배려심이 있고 작은 일에도 신경을 쓰는 사람임을 나타낸다고 한다.
지원자의 태도를 확인하기 위한 ‘커피잔 테스트’는 실제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글로벌 임원 채용 기관 벤틀리 루이스의 최고경영자 루이스 말레는 “이런 작은 행동의 관찰을 통해 공식적인 질의응답으로는 알 수 없는 지원자의 많은 것을 알 수 있다.”며 “이 테스트가 조직에 적합한 사람인지를 평가하는 데 중요한 부분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물론 이 테스트만으로 채용을 결정하는 것은 아니다. 루이스는 “이것은 하나의 요소이다. 모든 훌륭한 지원자가 반드시 컵을 치울 것이라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긴장하거나 사무실이 익숙하지 않은 경우는 더 그럴 수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다른 최고경영자들도 성공을 위해서는 태도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아마존 최고경영자인 앤디 제시는 “특히 20대일 때는 당신이 무언가를 얼마나 잘하는지가 거의 태도로 결정된다.”고 말했다. 시스코의 영국 최고경영자 사라 워커는 “긍정적인 태도와 참여도 에너지를 가르칠 수는 없다.”며 “기술이나 경험보다 그 사람 자체가 더 중요하다.”고 전했다.
외신
- 많이 본 기사
- 종합
- 스포츠
- 경제
-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