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민 공익성’은 국가공원 건설의 3대 리념중 하나이다. 국가공원 건설 과정에서 어떻게 전민 공유를 더욱 잘 구현할 것인가? 최근 사천성 성도시에서 있은 제3회 국가공원포럼에서 여러 전문가와 학자, 업계인사들이 깊이 있는 탐구를 했다.
청화대학 국가공원연구원 원장 양예는 국가공원은 질이 가장 좋은 생태체계로 기후 안정기, 대자연 속의 정수기와 공기 정화기이며 가가호호에 가장 보편적인 혜택을 주는 생태제품으로 보고 있다.
“공민마다 국가공원 보호와 건설에 평등하게 참여할 기회가 있다. 때문에 국가공원은 공익성을 단단히 에워싸고 대중이 국가공원에 진입하는 문턱을 낮춰야 한다. 례를 들어 공익성 저가 입장권 가격제도를 취하고 군인, 학생, 로인, 장애인 등 군체에 무료를 보급한다.” 양예는 대중의 관련 지원봉사 참여를 격려하는 것도 매우 잠재력이 있다고 말했다.
데이터에 따르면 2024년말까지 첫패의 5개 국가공원 지원자가 1만명을 넘어섰고 국가공원 보호관리 사업에 심층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우리 나라는 인구가 많고 국가공원 범위내 및 주변 구역에 많은 향진이 분포되여있다. 생태효익과 민생복지의 협동제고를 어떻게 실현할 것인가? 이는 각 국가공원 건설에서 직면하는 공동 과제이다.
삼강원국가공원관리국 부국장 손립군은 당지 혁신치리 모식 이야기를 공유했다. 당지에서는 목축민들에게 생태공익일터를 제공하고 순찰보호사업에 참여시켜 공동으로 ‘중화수탑’을 수호하도록 했다.
통계에 의하면 첫패의 5개 국가공원에서 근 5만명의 당지 주민을 생태관리보호원으로 받아들여 집에 있으면서 고향의 산과 물을 수호하도록 했다. 년간 인당 로임성 수입이 1만~2만원에 달한다.
국가공원은 전민 공유의 자연유산으로서 당대 및 자손후대의 공동복지를 짊어지고 있다. 응당 전민이 공동 건설, 공동 향유, 공동 수호해야 하며 사회 각계의 력량을 동원하여 광범위하게 참여하도록 함으로써 생태보호, 록색발전, 민생개선의 상호통일을 실현해야 한다.
북경림업대학교 원림학원 교수 장옥균은 국가공원은 자연교육을 펼칠 수 있는 가장 좋은 조건을 가지고 있다고 밝혔다. 근년에 각 국가공원은 과학보급활동, 지식강좌, 실외 게임 등 방식을 통해 대중이 자연을 깨닫고 인식을 심화화도록 하고 있다.
“자연교육은 응당 과학연구와 결부되여야 하고 기업, 가정, 학교 등을 포함해 사회 여러 면의 력량을 동원하여 공동 참여해야 한다.” 장옥균은 전문가와 학자들은 평소의 과학연구 루적을 자연교육의 내용으로 전환시켜야 하며 자연교육기구는 집행자로서 과정체계를 착실하게 잘해 자연교육이 보다 규범화, 체계화되도록 촉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신화사
- 많이 본 기사
- 종합
- 스포츠
- 경제
- 사회